ssh의 설정파일에 대하여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39 조회
- 1 추천
- 목록
본문
ssh의 설정파일에 대하여
ssh접속에 있어서 모든 사용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ssh설정파일은 /etc/ssh/ssh_config파일입니다.
즉, 이 파일에는 ssh접속에 적용할 기본적인 옵션사항들이 모두 설정되어 있습니다.
다음 예를 보십시오.
[root@su250 ~]# ls -l /etc/ssh/ssh_config -rw-r--r-- 1 root root 1964 2008-10-17 17:44 /etc/ssh/ssh_config [root@su250 ~]# |
즉, 이 파일은 ssh클라이언트 사용시에 적용될 ssh설정파일(ssh client system-wide configuration file)입니다.
주의 하실 것은 sshd_config파일과 구분을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 두 파일 모두 /etc/ssh디렉토리에 존재하므로 가끔씩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잠시 구분해 드립니다.
다음 파일 예를 보십시오.
[root@su250 ~]# ls -l /etc/ssh/sshd_config
-rw------- 1 root root 3711 2008-10-17 17:44 /etc/ssh/sshd_config [root@su250 ~]# |
이 파일은 sshd데몬파일의 설정파일입니다.
즉, 현재 이 서버가 sshd데몬을 실행할 때에 이 설정파일을 읽어서 적용할 ssh데몬 설정파일(sshd server system-wide configuration file)입니다.
위의 첫번째 파일과는 정반대의 파일이므로 꼭 구분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SSH클라이언트의 설정파일인 ssh_config파일에는 ssh클라이언트를 사용할 때에 적용할 기본 설정사항들, 즉, 포트번호, 프로토콜, Timeout값 등을 설정해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사용자들이 ssh로 접속할 때에 이 설정파일의 적용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ssh접속 시에 -F옵션을 지정하면 개별 홈디렉토리에 .ssh디렉토리가 생성되고 그 디렉토리내에 config라는 파일이 생성됩니다.
즉, 개별 사용자들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ssh설정파일을 적용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만약 개별 설정파일이 적용되었다면 글로벌설정파일인 /etc/ssh/ssh_config파일의 적용은 무효화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