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로그인시에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계정으로 telnet 원격 접속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9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원격로그인시에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계정으로 telnet 원격 접속하기
이번에는 현재 로컬서버(local server)에서 원격서버(remote server)로의 telnet접속을 할 때에 현재 로컬서버에서 사용중인 계정명과 동일한 원격서버의 계정으로 접속하는 예를 보겠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계정명과 동일한 계정명으로 원격로그인 하고자 한다면 -a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용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elnet –a IP주소 : 예) telnet -a 192.168.0.252
telnet –a 도메인명 : 예) telnet -a bible.linux.co.kr
telnet –a 호스트명 : 예) telnet -a bible
아래의 예는 IP주소를 지정하여 현재 로컬서버에서 사용중인 계정명과 동일한 계정으로 원격서버로 로그인하는 예 입니다.
[sspark@su250 ~]$ id uid=504(sspark) gid=504(sspark) groups=504(sspark) [sspark@su250 ~]$ [sspark@su250 ~]$ telnet -a 192.168.0.252 Trying 192.168.0.252... Connected to 192.168.0.252. Escape character is '^]'. Password: Last login: Sun Jan 11 20:16:56 from 192.168.0.250 [sspark@su252 ~]$ [sspark@su252 ~]$ id uid=502(sspark) gid=502(sspark) groups=502(sspark) [sspark@su252 ~]$ |
먼저, 원격접속을 하기 전에 로컬서버의 현재 사용중인 계정명을 확인하기 위하여 id명령어를 사용 하였습니다.
확인 결과 sspark이라는 계정명으로 사용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telnet –a 192.168.0.252”이라는 telnet명령어로 원격서버의 sspark이라는 계정으로 접속하였습니다.
이렇게 원격서버의 계정명을 지정하지 않아도 -a옵션을 사용하시면 로컬서버의 동일한 계정명으로 접속을 시도하게 됩니다.
따라서 -a옵션을 사용하여 telnet접속을 하였을 경우에는 로컬서버의 계정명과 동일한 원격서버 계정의 패스워드만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원격서버로 접속이 된 후에 id명령어를 이용하여 원격서버의 계정명을 확인 하였습니다.
그 결과 로컬서버의 계정명과 동일한 sspark계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겠지만, 이번 예와 같이 telnet으로 원격접속시에 -a옵션을 사용할 때에는 접속하려는 원격서버에 동일한 계정이 존재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도메인명을 지정하여 현재 로컬서버에서 사용중인 계정명과 동일한 계정으로 원격서버로 로그인하는 예 입니다.
[sspark@su250 ~]$ id
uid=504(sspark) gid=504(sspark) groups=504(sspark) [sspark@su250 ~]$ [sspark@su250 ~]$ telnet -a bible.linux.co.kr
Trying 192.168.0.252... Connected to bible.linux.co.kr. Escape character is '^]'. Password: ******** Last login: Sun Jan 11 20:18:20 from 192.168.0.250 [sspark@su252 ~]$ [sspark@su252 ~]$ [sspark@su252 ~]$ id uid=502(sspark) gid=502(sspark) groups=502(sspark) [sspark@su252 ~]$ |
먼저, id명령어로 로컬서버에서 사용중인 현재 계정명을 확인 하였습니다.
확인 결과 sspark이라는 계정명으로 사용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telnet –a bible.linux.co.kr”이라는 telnet명령어로 원격서버의 sspark이라는 계정으로 접속 하였습니다.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원격서버로 접속을 한 후에 id명령어를 이용하여 원격서버의 계정명을 확인 하였습니다.
그 결과 로컬서버의 계정명과 동일한 sspark계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호스트명을 지정하여 현재 로컬서버에서 사용중인 계정명과 동일한 계정으로 원격서버로 로그인하는 예입니다.
[sspark@su250 ~]$ id uid=504(sspark) gid=504(sspark) groups=504(sspark) [sspark@su250 ~]$ [sspark@su250 ~]$ telnet -a bible
Trying 192.168.0.252... Connected to bible. Escape character is '^]'. Password: ******** Last login: Sun Jan 11 20:19:54 from 192.168.0.250 [sspark@su252 ~]$ [sspark@su252 ~]$ [sspark@su252 ~]$ id uid=502(sspark) gid=502(sspark) groups=502(sspark) [sspark@su252 ~]$ |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id명령어를 이용하여 로컬서버에서 사용중인 현재 계정명을 확인 하였습니다.
확인 결과 sspark이라는 계정명으로 사용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telnet –a bible”이라는 telnet명령어로 원격서버의 sspark이라는 계정으로 접속 하였습니다.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원격서버로 접속을 한 후에 id명령어를 이용하여 원격서버의 계정명을 확인 하였습니다.
그 결과 로컬서버의 계정명과 동일한 sspark계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호스트명으로 원격접속을 하려면 로컬서버의 /etc/hosts파일에 원격서버의 호스트명이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