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nod로 특수파일 생성시 파일퍼미션 설정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18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mknod로 특수파일 생성시 파일퍼미션 설정하기
이번에는 주번호가 6번인 Block 특수파일을 생성하면서 퍼미션을 0755로 지정하였습니다.
아래 생성된 /dev/blockfile2를 확인해 보시면 모드가 0755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oot@su250 su]# mknod -m 0755 /dev/blockfile2 b 6 12 [root@su250 su]# [root@su250 su]# ls -l /dev/blockfile2 brwxr-xr-x 1 root root 6, 12 2008-12-24 03:39 /dev/blockfile2 [root@su250 su]# |
즉, 위의 예에서 사용한 명령어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mknod : 장치파일명령어
-m 0755 : 생성되는 장치파일의 퍼미션을 0755로 지정한 것임.
/dev/,blockfile2 : 생성할 장치파일의 위치와 장치파일명
b : 생성할 장치파일의 종류로서 b는 Block특수파일을 의미함.
6 : 생성될 장치파일의 주번호를 6으로 지정한 것임.
12 : 생성될 장치파일의 부번호를 12로 지정한 것임.
결론적으로 위의 예는 mknod명령어를 이용하여 주번호가
6이고, 부번호가 12인 Block타입의 특수장치파일 /dev/blockfile2를 생성한
것입니다.
자, 이쯤 되면, 이제 우리는 궁금한 것이 있어야만 합니다.
지금까지 만든 장치파일들은 도대체 왜 만들었고, 어디에서 사용하는가에 대한 mknod의 원초적인 질문일 것입니다.
리눅스커널이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장치를 조작할 때에는 반드시 장치파일을 통하여 조작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장착하였을 경우에 이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하드디스크에 연결된 장치파일이 있어야 하고, 그 장치파일을 특정 위치(마운트포인트)에 마운트를 시켜야만 합니다.
이 때 사용되는 것이 우리가 지금 생성한 장치파일들입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장치를 위하여 /dev디렉토리에는 이미 장치파일들을 생성해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대부분의 경우 이미 /dev디렉토리에 생성되어 있는 장치를 사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장치파일 또는 나만의 장치파일을 새로 만들어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mknod로 장치파일을 만들어서 새로운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제, mknod의 사용목적에 대해서 이해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