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특수파일 및 장치파일 생성하는 mknod 개론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77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 특수파일 및 장치파일 생성하는 mknod 개론
mknod는 FIFO, Block 또는 Character 특수파일, 즉 장치파일(Device File)을 만들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일반적으로 블록디바이스, 문자디바이스라고 하는 파일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서 리눅스시스템에 새로 장착되는 하드웨어의 장치파일생성시에 주로 사용합니다.
파일생성시의 초기 퍼미션은 0644이며, p는 FIFO파일, b는 Block 특수파일, c와 u는 Character 특수파일을 각각 의미합니다.
또한 장치파일에는 주번호(Major Number)와 부번호(Minor Number)가 필요하며 장치파일생성시에 지정해 주셔야 합니다.
이미 준비되어 있거나 사용중인 장치파일들이 /dev에 약 7000여 개정도 생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mknod명령어를 이용하여 특수파일을 생성할 필요가 없지만, /dev에 생성되어 있지 않은 특수파일이 필요할 경우에는 mknod를 사용하여 장치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mknod로 특수파일을 생성할 경우에는 그 위치를 /dev내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다른 위치에서도 생성은 가능하지만 리눅스시스템에서 장치파일들은 모두 /dev내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명령어위치 : /bin/mknod
사용형식 : mknod [옵션]... NAME TYPE [MAJOR MINOR]
옵션
-m는 생성되는 장치파일의 모드지정(지정 시 초기 0666모드는 무시됨)
만약 “TYPE”에 b, c, 또는 u가 설정되어 블록장치파일 또는 문자장치파일을 생성할 때에는 반드시 MAJOR Number와 Minor Number를 지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TYPE”에 p를 지정하여 FIFO파일을 생성할 때에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이제부터 mknod를 이용하여 리눅스의 특수장치파일을 직접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