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럭의 정보 및 상태 확인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1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특정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럭의 정보 및 상태 확인하기
stats이라는 debugfs명령어를 이용하면 특정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럭의 정보 및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stats”이라는 debugfs전용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의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파일시스템(Filesystem) UUID |
다음 예는 /dev/sda3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stats이라는 debugfs전용명령어를 실행한 예와 그 결과를 나타낸 것입니다.
[root@su250 sulinux]# debugfs -w /dev/sda3 debugfs 1.41.3 (12-Oct-2008) debugfs: debugfs: stats
Filesystem volume name: /home Last mounted on: <not available> Filesystem UUID: e258fd21-3bda-4c09-8e71-bb0519d6b2cc Filesystem magic number: 0xEF53 Filesystem revision #: 1 (dynamic) Filesystem features: has_journal ext_attr resize_inode dir_index filetype needs_recov ery sparse_super large_file Filesystem flags: signed_directory_hash Default mount options: user_xattr acl Filesystem state: clean Errors behavior: Continue Filesystem OS type: Linux Inode count: 65808 Block count: 263064 Reserved block count: 13153 Free blocks: 249919 Free inodes: 65594 First block: 0 Block size: 4096 Fragment size: 4096 Reserved GDT blocks: 64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32768 Inodes per group: 7312 Inode blocks per group: 457 Filesystem created: Mon Dec 1 21:47:55 2008 Last mount time: Sun Jan 4 19:43:38 2009 Last write time: Sun Jan 4 22:13:48 2009 Mount count: 30 Maximum mount count: -1 Last checked: Mon Dec 1 21:47:55 2008 Check interval: 0 (<none>) Reserved blocks uid: 0 (user root) Reserved blocks gid: 0 (group root) First inode: 11 Inode size: 256 Required extra isize: 28 Desired extra isize: 28 Journal inode: 8 Default directory hash: half_md4 Directory Hash Seed: d8d9df44-8e11-4cbc-a345-a394c6bec699 Journal backup: inode blocks Directories: 99 Group 0: block bitmap at 66, inode bitmap at 67, inode table at 68 24033 free blocks, 7301 free inodes, 2 used directories Group 1: block bitmap at 32834, inode bitmap at 32835, inode table at 32836 32129 free blocks, 7295 free inodes, 6 used directories Group 2: block bitmap at 65536, inode bitmap at 65537, inode table at 65538 32309 free blocks, 7312 free inodes, 0 used directories Group 3: block bitmap at 98370, inode bitmap at 98371, inode table at 98372 32235 free blocks, 7304 free inodes, 5 used directories Group 4: block bitmap at 131072, inode bitmap at 131073, inode table at 131074 32309 free blocks, 7312 free inodes, 0 used directories Group 5: block bitmap at 163906, inode bitmap at 163907, inode table at 163908 32234 free blocks, 7303 free inodes, 5 used directories Group 6: block bitmap at 196608, inode bitmap at 196609, inode table at 196610 32309 free blocks, 7312 free inodes, 0 used directories Group 7: block bitmap at 229442, inode bitmap at 229443, inode table at 229444 31900 free blocks, 7143 free inodes, 81 used directories Group 8: block bitmap at 262144, inode bitmap at 262145, inode table at 262146 461 free blocks, 7312 free inodes, 0 used directories debugfs: debugfs: |
위의 결과는 /dev/sda3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정보를 나타낸 것입니다.
특정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럭의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stats”대신에 “show_super_ststs”를 실행해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리눅스 명령어 가운데 특정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럭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dumpe2fs”라는 것이 있습니다.
즉, “dumpe2fs”라는 명령어는 쉘상태에서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이며 지정한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웹사이트(www.linux.co.kr)의 “dumpe2fs”강좌편을 참조하시면 실제 예와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