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시스템 튜닝명령어 tune2fs 개론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5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파일시스템 튜닝명령어 tune2fs 개론
우리는 이번장에서 어쩌면 리눅스 시스템관리자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명령어를 배우게 됩니다.
필자는 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모든 관리자들에게 물어봅니다.
“여러분들은 여러분들의 시스템에 대한 파일시스템의 구조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그리고 특정 파일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바꾸거나 파일시스템 조작을 할 수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하였습니다.
아마도 이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하시는 분들이 많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필자는 지난 1996년부터 현재까지 15년 가까운 기간을 시스템관리를 하면서도 리눅스관리자들이 파일시스템을 마음껏 조작할 수 있는 경우를 그다지 많이 보지는 못하였습니다.
만약 여러분들께서 이번 장의 내용과 함께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파일시스템관련 툴들(뒤에서 별도 언급함.)을 원활하게만 다룰 수 있다면 아마도 여러분들께서는 고급 시스템관리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이번 장에서 배우게 될 명령어는 tune2fs라는 것으로서 한마디로 리눅스 파일시스템을 원하는 대로 조작하기 위하여 파일시스템 파라미터값을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즉, 아직 사용되지 않은 파일시스템이든 이미 사용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이든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파일시스템의 파라미터값을 변경함으로써 파일시스템을 튜닝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리가 원하는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서 시스템 안정성을 높인다거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tune2fs 사용시에 실수를 하면 시스템에게 직접적인 손상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모든 상황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상황에 놓아두시고, 매우 신중하게 다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tune2fs사용법과 활용법을 충분히 숙지하신 다음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명령어를 사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마운트해제(umount)된 파일시스템을 대상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tune2fs와 함께 배우셔야 하는 파일시스템관련 명령어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거듭 말씀 드리지만, 각 명령어들의 자세한 사용법들은 이 책의 각 파트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debugfs : 파일시스템 디버거(degubber)
- dumpe2fs : 파일시스템의 덤프(dump)
- e2fsck (또는 fsck) : 파일시스템 점검
- /etc/fstab파일 : 부팅시 자동마운트 설정파일
- mke2fs (또는 mkfs) : 파일시스템 생성(포맷작업)
- fdisk : 파티셔닝(partitioning)
- parted : 파티션 튜닝
- tune2fs : 파일시스템 튜닝
특히 이번 장에서 설명하는 tune2fs와 함께 debugfs는 매우 중요한 명령어입니다.
파일시스템을 조작하고 다룬다는 의미에서는 비슷한 용도의 명령어이지만, 작업 대상이 조금 다릅니다.
각 명령어 파트에서 자세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명령어위치 : /sbin/tune2fs
사용형식 : tune2fs [-l] [-c 최대마운트횟수] [-e 에러발생시반응] [-f] [-i 점검간격] [-j][-J journal-options] [-m 예비블록율] [-o [^]마운트옵션[,...]][-r 예비블록수 ][-s sparse-super-flag][-u 사용자][-g 그룹명][-C 마운트횟수][-E 확장옵션][-L 레이블명][-M 최근마운트위치][-O [^]feature[,...]] [-T 최근점검시간][-U UUID] 파일시스템장치명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