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파일시스템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dumpe2fs 개론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9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특정 파일시스템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dumpe2fs 개론
“dumpe2fs”라는 명령어는 ext2 또는 ext3타입의 지정한 파일시스템에 대한 다음 두 항목에 대한 상세정보를 덤프(dump)하여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첫번째 : 지정된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정보
두번째 : 지정된 파일시스템의 블록그룹정보
즉, dumpe2fs는 지정한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과 각 블록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해 줍니다.
또한 지정된 파일시스템의 블록(block)과 아이노드(Inode)에 대한 사용내역과 상세내역 확인 및 통계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번 장에서 설명하는 dumpe2fs명령어는 지정한 파일시스템의 상세내역과 수퍼블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와 함께 특정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 파라미터값을 변경할 수 있는 tune2fs명령어, 그리고 파일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는 debugfs명령어와 함께 알아두셔야 합니다.
각설하고 dumpe2fs로 확인 가능한 파일시스템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파일시스템 레이블명(Volume name)
. 최근 마운트 정보
. 파일시스템(Filesystem) UUID
. 파일시스템(Filesystem) magic number
. 파일시스템(Filesystem) revision
. 파일시스템(Filesystem) features
. 파일시스템(Filesystem) flags:
. 마운트 기본옵션(Default mount options)
. 파일시스템(Filesystem) state
. Errors behavior
. 파일시스템(Filesystem) OS type
. Inode 개수(count)
. Block 개수(count)
. 예비블록 개수(Reserved block count)
. 미사용 블록 수(Free blocks)
. 미사용 inodes(Free inodes)
. 첫번째블록번호(First block)
. 블록 크기(Block size)
. 프레그먼트 크기(Fragment size)
. 예비GDT블록(Reserved GDT blocks)
. 블록그룹 당 블록수(Blocks per group)
. 블록그룹 당 프레그먼트수(Fragments per group)
. 블록그룹 당 Inode수(Inodes per group)
. 블록그룹 당 Inode블록수(Inode blocks per group)
. 파일시스템 생성날짜(Filesystem created)
. 최근 마운트시간(Last mount time)
. 최근 저장시간(Last write time)
. 마운트 횟수(Mount count)
. 최대 가능한 마운트횟수(Maximum mount count)
. 최종 점검시간(Last checked)
. 점검간격 (Check interval)
. 예비블록 사용자 UID (Reserved blocks uid)
. 예비블록 사용자 GID (Reserved blocks gid)
. 첫번째 INODE (First inode)
. INODE 사이즈(Inode size)
. 요구 여분 isize(Required extra isize)
. 최적 여분 isize(Desired extra isize)
. Journal inode
. Default directory hash
. Directory Hash Seed
. Journal backup
. Journal size
. 각 블록그룹별 정보
- 블록그룹 번호
- 수퍼블록 및 백업수퍼블록 저장위치 및 Description
- 예비GDT 블록의 위치
- 블록 Bitmap위치 및 Inode Bitmap위치
- Inode 테이블위치
- 유휴블록, 유휴inode 및 directories
- 유휴블록
- 유휴 Inodes
명령어위치 : /sbin/dumpe2fs
사용형식 : dumpe2fs [-bfhixV][-o superblock=superblock][-o block-size=blocksize] 파일시스템명
사용옵션
-b : 배드블록으로 지정되어 있는 블록정보를 출력
-o superblock=superblock : 지정된 수퍼블록을 사용하여 파일시스템 점검.
-o blocksize=blocksize : 지정한 블록사이즈(bytes단위) 단위를 사용.
-f : 인식하기 어려운 파일시스템일 경우 강제로 dumpe2fs를 수행.
-h : 블록그룹정보를 제외한 수퍼블록정보만을 출력.
-x : 16진수(Hexadecimal) 포맷으로 상세한 블록그룹정보를 표시.
-V : dumpe2fs의 버전정보 확인.
즉, 특정파일시스템에 대한 위의 정보들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dumpe2fs명령어 뒤에 파일시스템장치명을 입력해 주면 됩니다.
특별한 사용법을 익힐 필요 없이 간단히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방법 보다는 dumpe2fs명령어로 출력되는 결과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위에서 나열한 파일시스템의 정보들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분에게만 dumpe2fs라는 명령어가 큰 힘이 됩니다.
따라서 리눅스의 대표적인 파일시스템인 ext2와 ext3에 대해서 기본적인 이해가 있어야만 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