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시스템장치명을 “장치명”으로 표현한 것.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5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파일시스템장치명을 “장치명”으로 표현한 것.
그리고 다음 /etc/fstab파일은 위와 동일한 것으로서 파일시스템 장치명부분을 “장치명”으로 표시한 것입니다.
[root@su252 etc]# cat /etc/fstab /dev/sda6 / ext3 defaults 1 1 /dev/sda3 /backup ext3 defaults 1 2 /dev/sda2 /home ext3 defaults 1 2 /dev/sda1 /boot ext3 defaults 1 2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dev/sda5 swap swap defaults 0 0 [root@su252 etc]# |
즉, 위의 두가지 예에서 “레이블명”으로 나타내었던 파일시스템이름 부분을 “장치명”으로 나타낸 것뿐입니다.
레이블명으로 표시해도 되고 장치명으로 표시를 해두어도 됩니다.
단지, 리눅스시스템을 설치한 후에 /etc/fstab파일을 보면 기본적으로 위의 첫번째 예처럼 “레이블명”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두가지 경우가 모두 같은 것이므로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각각 매칭이 됩니다.
레이블명으로 표시
|
장치명으로 표시
|
마운트위치
|
비고
|
LABEL=/ |
/dev/sda6 |
/ |
|
LABEL=/backup |
/dev/sda3 |
/backup |
|
LABEL=/home |
/dev/sda2 |
/home |
|
LABEL=/boot |
/dev/sda1 |
/boot |
|
LABEL=SWAP-sda5 |
/dev/sda5 |
swap |
스왑파일시스템 |
위의 표에 있는 예들 가운데 /boot라는 레이블을 가진 파일시스템은 /dev/sda1이므로 이둘은 같은 것이고, 표현방법만 다를 뿐입니다.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dev/sda1이라는 파일시스템의 이름이 /boot 이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렸듯이 레이블명으로 되어 있는 첫번째 파일의 예는 대부분 리눅스를 설치한 후에 기본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이며, 장치명으로 되어 있는 두번째 파일의 예는 첫번째파일을 수정하여 표시한 것입니다.
“레이블명”으로 되어있는 것 보다는 명확한 “파일시스템장치명”으로 표시하는 것이 시스템관리에 효율적이다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필자는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파일시스템의 장치명으로 확인하는 것이 레이블명으로 확인하는 것보다 훨씬 직관적이고 효율적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파일시스템 장치명으로 표현해서 사용하실 것을 권장하고 싶습니다.
레이블이름으로 표현되어 있는 장치들의 실제 장치명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mount명령어 또는 df명령어 등으로 확인을 해보아야 하니까요.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