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2급 강좌 : 설치 전 고려사항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7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2급 강좌 : 설치 전 고려사항
설치 전 고려사항
실제 리눅스를 설치하기에 앞서 다음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어디에 설치할 것인가?
리눅스를 설치하는 머신의 종류는 어떤 것이고, 시스템의 어떤 방식으로 설치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어떤 배포판을 사용할 것인가?설치 목적에 가장 부합하고 자신에게 알맞은 배포판을 선정한다.
배포판의 선택 과정에는 하드웨어의 지원 여부도 고려 사항이다.
∙어떤 하드웨어를 사용하는가?컴퓨터가 설치하고자 하는 배포판에서 요구하는 하드웨어의 요건에 맞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리눅스 설치 시에는 하드 디스크의 공간과 네트워크 카드 지원 여부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이 두 가지가 해결이 되지 않으면 리눅스를 원하는 목적에 사용하는 것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리눅스의 사용 목적에 따라 비디오 카드의 지원 여부, 주변기기의 지원 여부 등도 확인해야 한다.
∙데스크탑 시스템인가, 서버 시스템인가?리눅스를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 결정한다.
본서는 서버 시스템을 전제로 하지만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KDE, GNOME 등의 X 윈도우 환경을 함께 설치하도록 한다.
∙호스트 이름은 무엇인가?리눅스는 기본적으로 호스트 이름을 갖는다.
기본적으로 localhost라는 이름을 갖지만 따로 정해주는 것이 좋다.
이것은 윈도우즈 운영체제의 컴퓨터 이름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할당받은 IP 주소는 무엇인가?고정 IP를 사용한다면 할당받은 IP 주소와 네트워크에 관련된 다른 설정 사항도 알아둔다.
기본적으로 IP, gateway, DNS 등 세 가지가 필요하다.
만약 DHCP를 사용한다면 자동으로 네트워크 설정이 된다.
∙디스크를 어떻게 분할해야 하나?리눅스를 하나의 파티션에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특히 서버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서버 시스템의 효율적인 사용,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 데이터의 안전 및 백업 등을 고려하여 파티션을 분할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리눅스 운영체제를 재설치하는 경우에 간단한 마운트 과정을 통해서 이전에 사용한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떤 패키지를 설치해야 하나?리눅스는 용도나 필요에 따라 설치할 패키지를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시스템 효율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리눅스는 X 윈도우를 굳이 설치하지 않더라도 서버 시스템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낮은 성능의 PC에서도 리눅스를 웹서버, FTP 서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고려하여 최소의 패키지를 설치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