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단위 파일복사 및 변환명령어 dd의 실무활용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78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블록단위 파일복사 및 변환명령어 dd의 실무활용
dd는 블록단위로 파일을 복사하거나 파일의 변환을 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테이프(tape)로 데이터를 백업받을 때에도 흔히 사용합니다.
dd의 입출력시에 사용되는 단위들의 크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c : 캐릭터(Character), 1byte
- w : 워드(Word), 2bytes
- k : 키로(Kilo Bytes), 1024bytes
- b : 블록(BLOCK), 512bytes
명령어위치 : /bin/dd
사용형식
dd [옵션]……
주요옵션
bs=BYTES
한번에 BYTES씩 읽어들이고 출력한다. ibs와 obs를 한번에 지정한 것과 같다.
(ibs=BYTES, obs=BYTES)
cbs=BYTES
한번에 BYTES씩 변환작업을 한다. (convert BYTES bytes at a time)
conv=CONVS
콤마(,)로 분리된 단어들을 파일로 변환한다.
count=BLOCKS
입력블록(blocks)의 ibs크기만큼만 복사한다.(copy only BLOCKS input blocks)
ibs=BYTES
입력단위로 한번에 BYTES단위로 읽어들인다.(read BYTES bytes at a time)
if=FILE
표준입력대신 지정된 파일을 입력으로 받는다.(read from FILE instead of stdin)
obs=BYTES
출력단위로 한번에 BYTES단위로 출력한다.(write BYTES bytes at a time)
of=FILE
표준출력대신 지정된 파일에 출력한다.(write to FILE instead of stdout)
seek=BLOCKS
출력시작시 지정된 BLOCKS의 단위만큼 obs크기를 건너뛰고 출력을 시작한다.
skip=BLOCKS
입력시작시 지정된 BLOCKS의 단위만큼 ibs크기를 건너뛰고 입력을 시작한다.
ascii
EBCDIC코드를 ASCII코드로 변환한다.
ebcdic
ASCII코드를 EBCDIC코드로 변환한다.
ibm
ASCII코드를 EBCDIC코드로, EBCDIC코드를 ASCII코드로 변환한다.
block
cbs로 변환작업과정에서 입력문자내에 있는 개행문자(줄바꿈문자)들을 공백문자로 변환한다.
unblock
block와는 반대로 cbs로 변환작업과정에서 입력문자내에 있는 공백문자들을 개행문자(줄바꿈문자)로 변환한다.
lcase
영문대문자를 영문소문자로 변환한다.
notrunc
“No truncation”, 즉 출력파일을 자르지 않고 출력한다.
ucase
영문소문자를 영문대문자로 변환한다.
swap
입력된 두바이트를 바꾼다.
noerror
입력데이터를 읽을 때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계속 진행한다.
sync
입력된ibs와 출력하는 obs사이에 차이가 있을 경우 그 여백공간을 NULL문자로 채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