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쉘에서 mysqladmin으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작성자 정보
- 구돌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2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 쉘에서 mysqladmin으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MYSQL의 관리유틸리티인 mysqladmin을 이용하시면 MYSQL에 직접 접속하지 않더라도 리눅스 쉘상태에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즉, mysqladmin이라는 MYSQL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사용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형식 : mysqladmin -u root -p create 새로운데이터베이스명
위의 형식에서 “새로운데이터베이스명”에 새로 생성할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아래는 현재 필자의 리눅스 서버에서 commandbook이라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mysqladmin명령어를 사용한 것입니다.
[root@file bin]# pwd /usr/local/mysql/bin [root@file bin]# [root@file bin]# ./mysqladmin -u root -p create commandbook
Enter password: ******** [root@file bin]# |
아무런 에러메시지없이 실행이 종료되었다면 commandbook이라는 데이터베이스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확인을 위하여 MYSQL에 접속한 다음 “show databases”라는 MYSQL명령어로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확인한 것입니다.
mysql> show databases; +-------------+ | Database | +-------------+ | commandbook | | mysql | | papa | | temp_db2 | | test | +-------------+ 5 rows in set (0.00 sec)
mysql> |
위의 결과를 보시면 commandbook이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이렇게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면 MYSQL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디렉토리내에 데이터베이스명과 동일한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이 디렉토리내에 새로 생성한 데이터베이스의 실제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필자의 경우 MYSQL설치시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디렉토리위치를 /usr/local/mysql/data/으로 지정하였기 때문에 여기서 새로 생성한 commandbook 데이터베이스의 디렉토리는 /usr/local/mysql/data/commandbook/이 됩니다.
가끔 다른 분들은 MYSQL의 데이터 디렉토리로서 /usr/local/mysql/var/로 사용하시는 경향이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