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에러메시지를 확인하는 perror의 다양한 사용예 보기
작성자 정보
- 구돌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00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시스템 에러메시지를 확인하는 perror의 다양한 사용예 보기
말씀드렸다시피 perror은 시스템의 에러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주로 MYSQL의 에러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MySQL사용중 발생하는 에러 또는 php프로그래밍을 할 때에 MYSQL관련 에러메시지를 만나면 에러번호를 표시하게 됩니다.
이때 이 에러번호가 의미하는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MySQL명령어가 perror입니다.
원래 필자는 리눅스명령어만을 이 책의 대상으로 기획하였으나 리눅스에서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으로 MySQL이 주로 사용되며 서버관리자에게는 리눅스명령어 이상으로 MySQL관련 명령어가 많이 사용되므로 MySQL관련 명령어도 설명대상에 넣은 것입니다.
.
이를 위하여 현재 필자는 리눅스에서의 MySQL관련 명령어의 설명을 위하여 MYSQL을 /usr/local/mysql에 설치를 하였습니다.
따라서 MySQL관련된 명령어의 위치는 모두 /usr/local/mysql/bin/임을 밝혀둡니다.
만약 여러분께서 RPM으로 설치된 MySQL을 설치하여 사용하신다면 /usr/sbin/이나 /usr/bin/에 이들 명령어가 위치하고 있을 것입니다.
아래 예와 같이 /usr/local/mysql/bin에서 "./perror 번호"를 입력하면 에러번호가 의미하는 내용을 알려주게 됩니다.
다음 에러번호 23번은 현재 리눅스 시스템에 허용된 파일갯수 이상의 파일이 오픈되어 에러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root@host3
bin]# ./perror 23 |
다음과 같이 -s옵션을
사용하면 에러코드는 생략한채로 에러번호의 의미만을 표시해줍니다.
[root@host3
bin]# ./perror -s 23 |
다음은 여러가지 에러메시지를 확인한 예입니다.
에러번호 1번은 현재 명령어의 실행이 허용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root@host3
bin]# ./perror 1 |
에러번호 2번은 명령행에 입력된 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ot@host3
bin]# ./perror 2 |
에러번호 3번은 존재하지않는 프로세스임을 의미합니다.
[root@host3
bin]# ./perror 3 |
에러번호 4번은 시스템에서 인터럽트가 발생했음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root@host3
bin]# ./perror 4 |
에러번호 5번은 입출력에러가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root@host3
bin]# ./perror 5 |
에러번호 6번은 장치명이나 장치번호가 존재하지않음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root@host3
bin]# ./perror 6 |
이와같이 시스템 사용중에 발생하는 에러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