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분류
일반적인 MYSQL의 에러원인 확인 방법
작성자 정보
- 구돌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8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일반적인 MYSQL의 에러원인 확인 방법
아래의 예는 MYSQL의 에러번호가 20인 경우와 23번인 경우의 에러원인을 각각 확인한 예입니다.
[root@file bin]# ./perror 20 Error code 20: Not a directory [root@file bin]# ./perror 23 Error code 23: Too many open files in system [root@file bin]# |
즉, 위의 예에서 MYSQL의 에러코드 20번은 “Not a directory”라는 의미로서 디렉토리를 오픈하려고 하였으나 디렉토리가 아닌 경우에 발생한 에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MYSQL의 에러코드 23번은 “Too many open files in system”라는 원인으로서 현재 리눅스 서버에서 오픈가능한 파일의 개수가 허용가능한 개수보다 초과하여 발생한 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무단배포금지: 클라우드포털(www.linux.co.kr)의 모든 강좌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되는 콘텐츠입니다. 무단으로 복제하여 배포하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