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치 설정관리 유틸티리 : system-config-httpd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7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아파치 설정관리 유틸티리 : system-config-httpd
다음은 아파치웹서버의 설정을 할 수있는 유틸리티입니다.
일반적으로 아파치의 설정은 httpd.conf파일을 직접 편집하여 설정합니다.
하지만 httpd.conf파일의 편집설정방식은 어느정도 익숙한 관리자들만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유틸리티를 이용하시면 초보자들도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웹사이트(www.linux.co.kr)의 아파치 강좌편에 보시면 httpd.conf파일의 자세한 설정방법을 설명하고 있기때문에 설정내용의 상세설명은 이 웹사이트(www.linux.co.kr)의 아파치 강좌 편을 보시기 바랍니다.
실행방법 : redhat-config-httpd
system-config-httpd
아래의 "Main"창에서는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괄호안에는 httpd.conf파일의
설정지시자와 매칭되는 값입니다.
Server Name : 아파치서버 호스트명(ServerName)
Webmaster email address : 관리자Email주소(ServerAdmin)
그리고 기본주소외에 다른 주소나 포트번호를 사용하고자 하신다면 "Available Addresses"에서 Add버튼을 눌러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ServerAlias)
그리고 다음 "Virtual Hosts"창은 아파치의 가상호스트설정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설정을 하시려면 "Add"버튼을 클릭하여 등록해 주시면 됩니다. 이책의 아파치편에 있는 가상호스트설정법과 함께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다음 "Server"창은 아파치웹서버의 데몬에 대한 설정입니다.
괄호안에는 httpd.conf파일내의
설정항목과 매칭되는 것입니다.
Lock File : 아파치 Lock파일 (LockFile)
PID File : 아파치 프로세스의 PID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PidFile)
Core Dump Directory : 아파치 주설정디렉토리
User : 아파치 자식프로세스 데몬의
소유주(User)
Group : 아파치 자식프로세스 데몬의
소유그룹(Group)
그리고 다음 "Performance Tuning"창은 아파치의 성능에 관련된 몇가지 설정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Max Number of Connections"는
아파치 자식프로세스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최대 갯수를 지정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동시최대방문자수로 알려져 있는 값입니다.
이 설정을 하시면 httpd.conf파일에서 MaxClients의 설정값에 할당이 됩니다.
"Connection Timeout"은
아파치와 연결후 여기서 지정된 초동안 요청이 없었을 경우에 연결을 종료하게 됩니다.
즉, 연결을 종료할 timeout값으로서 이 설정은 httpd.conf파일의 Tomeout값에 할당이 됩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 있는 "Allow unlimited requests per connection"은 지속적인 연결을 허용할 경우에 선택하시면 됩니다.
"Max requests per connections"는
httpd.conf파일의 "MaxRequestsPerChild"항목의 값과 같은 것으로서 하나의 자식프로세스에 대하여 최대 몇개의 요청까지 처리하도록 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아래의 "Allow Persistent
Connections"는 하나의 자식프로세스의 연결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결을 허용하기위한 설정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