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현재 서버의 파일시스템별 디스크사용량 점검하는 df명령어 실무활용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64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현재 서버의 파일시스템별 디스크사용량 점검하는 df명령어 실무활용
df는 "Disk Free"의 약어로서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의 전체용량, 사용한 용량, 사용가능한 용량, 사용율, 마운트정보등을 보여줍니다. 즉, 이 명령어는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들의 디스크사용량을 출력합니다.
서버 장애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는 File System Full(파일시스템용량이 꽉참)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버관리자의 주된 업무 중 한가지가 주기적인 파일시스템 사용량 점검입니다. 이때 파일시스템의 사용량점검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가 df입니다. 또한 df 명령어는 /etc/fstab파일에서 파일시스템정보를 참조하고, /etc/mtab에서 마운트된 정보를 참조합니다.
그리고 기본표시 용량단위는 KB(Kilo Byte)이며, 주로 서버관리자(root)가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필자는 서버관리를 하시는 많은 분들께서 이 명령어를 너무나 가볍고 간단하게만 사용하시는 것을 봐 왔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필자의 경험으로 본다면 df명령어 만큼 우리 서버관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명령어를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즉, df라는 단 두글자의 명령어로 서버관리자가 주기적으로 확인해야하는 디스크용량을 파일시스템(파티션)별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byte, Kbyte, Mbyte, Gbyte의 용량단위로 전체 파일시스템의 디스크사용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서버관리자에게는 너무나 고마운 명령어입니다.
"무단배포금지: 클라우드포털(www.linux.co.kr)의 모든 강좌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되는 콘텐츠입니다. 무단으로 복제하여 배포하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