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파티션별로 디스크사용량을 점검하는 df 활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제목 : 파티션별로 디스크사용량을 점검하는 df 활용법



1. 이번 강좌에서는 파티션별로 디스크사용량을 점검할 수 있는 df명령어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2. df "Disk Free"의 약어로서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의 전체용량, 사용한 용량, 사용가능한 용량, 사용율, 마운트정보등을 출력해 주는 리눅스 관리자의 기본명령어입니다.   , 간단하게 말씀드린다면 df는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들의 디스크사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관리자 명령어입니다.

 

3. 서버 장애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는 File System Full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서버관리자의 주된 업무 중 한가지가 주기적인 파일시스템 사용량 점검 입니다. 이때 파일시스템의 사용량점검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가 df입니다.

 

4. 또한 df /etc/fstab파일에서 파일시스템정보를 참조하고, /etc/mtab에서 마운트된 정보를 참조합니다. 그리고 기본표시 용량단위는 KB(Kilo Byte)이며, 주로 서버관리자(root)가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5. 또한 df는 서버관리자가 주기적으로 확인해야하는 디스크용량을 파일시스템(파티션)별로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로서 전체 파일시스템의 디스크사용량을 byte, Kbyte, Mbyte, Gbyte의 용량단위를 붙여서 표시할 수 있으므로 현재 디스크 사용현황을 아주 쉽고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6. 따라서 이번강좌의 목적은 리눅스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현재 사용중인 디스크 사용량을 간편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히는 것입니다.


  

1. 먼저, 가장 간단한 예로서 현재 서버의 디스크 사용량을 파티션별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508_2418.png
 

2. 화면에 나타난 결과의 예와같이 그냥 df라고만 입력하고 실행하면 현재 파일시스템 사용량 정보를 나타내 줍니다.

 

3. , 결과화면의 각 행에서...

 

첫번째 필드는 파일시스템 장치명(device name)을 의미하며,
두번째 필드는 각 파일시스템에 할당된 용량을 의미하며,
세번째 필드는 사용된 용량을 의미하며,
네번째 필드는 사용가능한 용량, , 사용되지않고 남아 있는 용량을 의미하며,
다섯번째 필드는 사용율, , 전체할당된 용량에 대한 사용된 용량의 백분율을 나타내며,
여섯번째 필드는 각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된 마운트포인트 즉, 디렉토리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4. 이번 예에서 우리는 df명령어에 대한 결과를 확인 하였으며 이 결과에서 시스템의 각 파티션들의 현재 디스크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5. 그리고 여기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은 df의 기본 결과의 용량단위는 kbyte라는 것입니다. 다음 예를 하나더 보시기 바랍니다.

 

6. 이번 예는 df명령어에 -k옵션을 사용한 예로서 출력결과를 KB단위로 표시하라는 의미입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529_9169.png
 

-k옵션 : 용량을 kilo byte단위로 표시한다.

 

7. 이번 예를 잘 보시면 앞의 예에서 실행했던 "df"의 실행결과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df를 실행한 결과와 df -k를 실행한 결과가 동일하다는 것은 df의 기본 용량단위가 kbyte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8. 이번에는 df를 이용하여 파티션별로 디스크 사용량을 표시할 때에 출력결과를 Mbyte로 표시하도록 하기 위하여 -m옵션을 사용한 것입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558_3099.png
 


-m 옵션 : 용량을 Mega byte로 출력한다.

 

9. , 각 파티션들의 디스크사용량을 표시할 때에 Mbyte단위로 표시하라는 것을 의미입니다. 이번 예의 결과화면에서 나타난 각 숫자들에서 용량단위는 생략되어 있지만, 이들 단위는 모두 Mbyte를 의미합니다.

 

10. , 그럼 이번에는 byte, Kbyte, Mbyte, Gbyte등의 용량단위를 붙여서 표시하는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df를 실행할 때에 -h옵션을 사용하시면 각 파티션들의 디스크사용량을 용량단위를 붙여서 표시해 줍니다. 실행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578_4061.png
 

-h 옵션 : 용량단위를 붙여서 표시한다.

 

11. df에서 -h옵션은 human-readable의 약어로서 우리 인간이 가장 인지하기 쉬운 용량단위를 붙여서 표시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12. 이번 예의 결과를 보시면 M, G등의 용량단위가 표시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리눅스 서버관리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옵션은 -h로서 용량단위를 붙여서 표시하면 그 결과를 가장 빠르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3. 이번에는 현재 시스템에 장착된 모든 파일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용현황을 나타내기 위한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598_3311.png
 


 

 

-a 옵션 : 모든 파일시스템들의 디스크 사용량을 표시한다.
         
용량이 0인 파일시스템도 함께 표시됨.

 

 

14. 이번 예에서 사용한 df의 옵션은 -a옵션으로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티션들의 디스크사용 현황을 나타내 줍니다. 만약 이번 예에서 용량단위를 붙여서 나타내도록 하려면 -a옵션과 함께 -h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15. 이번 예에서 꼭 알아두셔야 하는 것은 -a옵션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파일시스템의 크기가 0인 것까지 포함하여 출력한다는 것입니다.

 

16. , 이번 결과 화면에서 보시면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proc, /proc/bus/usb, /dev/pts등의 파일시스템들의 디스크 사용량이 출력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7. , 이들 파일시스템들은 모두 할당용량, 사용량, 가용량등이 모두 0이므로 굳이 표시해야 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기본표시에서는 제외 되었지만, -a옵션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출력된 것입니다.

 

18. 이번에는 df를 이용하여 inode사용량 정보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622_0736.png
 


-i 옵션 : inode 사용량정보를 표시한다

 

 

19. 이번 예에서 나타낸 것은 각 파일시스템들의 inode사용정보를 나타낸 것입니다. , df명령어에서 -i옵션을 사용하시면 각 파일시스템들의 inode사용정보를 나타내 줍니다.

 

20. , 지금까지의 df명령어의 결과에서는 디스크사용량을 블록(block)을 기준으로 출력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에 출력한 df -i의 출력결과는 블록대신에 inode 단위로 디스크사용량 정보를 출력한 것입니다.

 

21. 이번에는 df로 각 파일시스템별 디스크 사용현황을 출력할 때에 파일시스템 종류를 함께 표시하는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642_122.png
 


-T 옵션 : 파일시스템 종류(filesystem type)를 나타낸다.

 

22. , df-T옵션은 각 파일시스템들이 사용하고 있는 파일시스템 종류를 추가로 표시합니다.

 

23. 이번에는 현재 서버의 모든 파일시스템 가운데 특정 파일시스템 타입에 해당하는 파일시스템들의 사용량을 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661_7764.png
 


-t 타입 : 지정된 파일시스템 타입에 해당하는 파일시스템의 사용량만을 나타낸다.

 

24. df에서 특정 파일시스템 타입에 해당하는 파일시스템들만의 사용량을 확인하려면 -t옵션 다음에 파일시스템 타입을 지정하면 됩니다.

 

25. 이번예에서 출력된 /dev/hda2, /dev/hdb1, /dev/hda1, /dev/hda6는 모두 파일시스템 타입이 ext3입니다. , 현재 시스템에서 타입이 ext3인 파일시스템만 출력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6. 이번에는 파일 시스템타입이 ext2인 파일시스템들의 사용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df -t ext2"을 실행한 예입니다. , 타입이 ext2인 파일시스템들에 대해서만 그 사용량을 출력한 것입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684_5422.png
 


 

-t 타입 : 지정된 파일시스템 타입에 해당하는 파일시스템의 사용량만을 나타낸다.

 

27. , 이번 결과로 출력된 /dev/hdc파일시스템과 /dev/hdd파일시스템은 모두 ext2타입의 파일시스템들이며 이들에 대한 디스크사용량이 각각 출력된 것입니다.

 

28. 이번에는 이와 반대로 특정 파일시스템을 제외한 파일시스템들에 대해서만 그 사용량을 확인하는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704_4715.png
 


-x 타입 : 지정된 파일시스템 타입외의 파일시스템들만을 대상으로 사용량을 나타낸다.

 

29. , 이번 예는 바로 앞의 경우와 반대의 경우로서 특정 파일시스템을 지정하고 지정된 파일시스템 타입외의 나머지 파일시스템 타입에 해당하는 파일시스템들만의 사용량을 표시해 줍니다. , 이번 예에서 실행한 “df -x ext2”는 ext2 파일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종류의 파일시스템에 대한 사용현황을 출력한 예입니다.

 

29. 그리고 다음은 “df -x ext3”을 실행한 예로서 ext3타입의 파일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종류의 파일시스템에 대한 사용량 정보를 출력한 것입니다.


 


c437ca611387344814940cb4f97d09ce_1646641730_5734.png
 

-x 타입 : 지정된 파일시스템 타입외의 파일시스템들만을 대상으로 사용량을 나타낸다.

 

30. 이상으로 df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df를 이용하여 각 파일시스템들의 디스크사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31. 이번 강좌의 서두에서도 말씀드렸듯이 df는 반드시 du명령어와 함께 알아두셔야 보다 융통성 있는 디스크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43 명
  • 현재 강좌수 :  35,853 개
  • 현재 접속자 :  68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