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분류
[KT클라우드]Networking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08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IP 생성
IP 생성 -> Zone 선택 -> 생성하기 버튼 클릭

접속 설정(구. Port Forwarding 설정)
접속 설정(특정 포트)
공인 IP 선택 -> 접속설정 -> 접속설정 대상 VM 선택 -> 사설 Port 입력(예: 22번 포트) -> 공인 Port 입력(예: 10000번 포트) -> 프로토콜 선택(기본: TCP)

접속 설정(포트를 범위로 설정)
포트를 범위로 설정 버튼 클릭 -> 사설 Port의 Start - End 포트 입력 -> 공인 Port의 Start - End 포트 이력 -> 프로토콜 선택(기본: TCP)

방화벽
방화벽 설정
접근소스(IP 대역) 입력 -> 공인 Port 입력 -> 추가 버튼 클릭

Static NAT
Static NAT 설정
Static NAT 설정할 IP 선택 -> Static NAT 버튼 클릭 -> 서버 선택 -> 추가 버튼 클릭

삭제
공인 IP 선택 -> 삭제 버튼 클릭

상세정보 확인
공인 IP 선택 -> 상세정보 확인
요금제 변경
요금제 변경(추가 IP만 가능, 기본 IP는 변경 불가)
사양 변경
사양 변경(기본 IP 만 가능)
공인 IP 선택 -> 사양 변경(기본->고급)
** 주의: 네트워크 사양 변경 시, 최소 2분간 네트워크 단절 발생으로 서비스 영향이 없는 시간에 사양 변경 부탁드립니다.
네트워크 정액제
네트워크 정액제 신청

"무단배포금지: 클라우드포털(www.linux.co.kr)의 모든 강좌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되는 콘텐츠입니다. 무단으로 복제하여 배포하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