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클라우드 분류

[KT클라우드]Server 이용 방법 (G1.G2플랫폼)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KOR-Seoul M2 Zone의 표준서버는 All flash SSD 서버입니다.
KOR-Central A, KOR-Central B의 SSD서버는 root volume은 SSD, data volume은 HDD(일반)인 서버입니다.
신청
메인 홈페이지 우측 상단에 위치한 “클라우드 콘솔 버튼” 클릭
서버 생성 버튼 클릭
서버 생성 위치(zone)을 생성하고 원하는 OS type과 서버 스펙 선택 후 생성하기 클릭 (서버명 중복은 자동 체크됨)
root 디스크는 기본 Linux 20GB, Windows 50GB으로 제공
  • 상품종류 선택
  • - KOR-Seoul M2 Zone의 표준서버는 All flash SSD 서버입니다.
  • - KOR-Central A, KOR-Central B의 SSD서버는 root volume은 SSD, data volume은 HDD(일반)인 서버입니다.
※ Centos7.2 OS 선택 시 유의사항 : Centos7.2에서 'service --status-all' 명령어 실행 시 Network 서비스가 restart 될 수 있으므로 'Systemctl' 명령어 사용을 권고 드립니다.
요금제는 초기 생성 화면에서 시간제/정액제 선택 가능
Private Subnet (선택사항, 기존의 CIP)
Private Subnet (기존의 CIP-Cloud Internal Path) 생성된 상태에서만 해당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며 KT Cloud server Private Subnet에서 생성 및 관리 기능을 지원합니다.
  • 'IP 자동할당’ 기능: Private Subnet 네트워크 대역 내에서 IP를 자동으로 할당, ‘IP 지정’ 기능 : 네트워크 대역 내에서 사용자가 직접 IP 지정
  • Private Subnet 를 통해 zone간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
  • Private Subnet 생성 후에 각 서버 메뉴에서 추가 네트워크 할당 필요(Private Subnet 매뉴얼 참조)
생성 확인
KT Cloud server 리스트에서 신청한 서버가 “사용” 상태이면 생성 완료 상태
생성이 완료되면 E-mail 및 콘솔 오른쪽 상단의 알림(종모양 아이콘)에서 서버의 비밀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접속 설정
KT Cloud server 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 설정이 필요합니다.(기존의 포트포워딩)
Server 생성 이후에 접속설정 메뉴를 통해서 바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ex. 서버 접속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linux 서버는 22번 포트, 윈도우 서버는 3389번 포트를 사설포트에 추가하여야 하며, 해당 클라우드 서버를 웹서버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80번 포트를 추가해야 합니다.)
접속성정에서 접근을 원하는 사설 port와 실제 공인IP에서 사용할 port 지정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리눅스 22 port 접근을 위해서는 사설 port에 22를 입력하고 공인 IP로 사용을 원하는 포트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포트포워딩 규칙 추가/삭제 시 방화벽 설정도 함께 적용해줘야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Networking 메뉴에서도 접속설정 확인이 가능합니다.
삭제
서버를 정지 후에 삭제 항목을 선택 하시면 됩니다.
  • 완전 삭제 유무 선택 후 진행
  • 완전 삭제 시 : 해당 VM의 복구가 절대 불가
  • 완전 삭제 하지 않을 시 : 해당 서버명 hostname을 삭제 후 24시간 동안 재사용 불가
변경
사양 변경이 가능 합니다
아래와 같이 서버의 사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43 명
  • 현재 강좌수 :  35,853 개
  • 현재 접속자 :  98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