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클라우드 분류

[KT클라우드]Load Balancer 및 Cloud LINK 설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Load Balancer을 이용하여 고가용성 웹 서비스 구성
Load Balancer 생성 (web1, web2)
여기서는 같은 존에 있는 두 개의 웹서버(web1, web2)를 Load Balancer를 구성해 보겠습니다.
그전에 앞서 진행상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Server > Networking 에서 Seoul M Zone의 기본IP를 선택하고, [접속설정]을 클릭합니다.
  • - web1의 22포트는 공인IP의 10001포트, web1의 80포트는 공인IP의 20001포트
  • - web2의 22포트는 공인IP의 10002포트, web2의 80포트는 공인IP의 20002포트
위와 같이 접속 설정이 되어있는 것을 확인했으면, Load Balancer > Load Balancer 에서 [로드밸런서 생성]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내용을 입력합니다.
  • - 위치: 생성할 zone을 입력합니다.
  • - 서비스 IP / PORT: 로드밸런서의 서비스IP와 포트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호출할 새로운 IP:port)를 선택합니다. 신규 IP할당인 경우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default) 포트는 HTTP이므로 80을 입력합니다.
  • - 로드밸런서 타입: 로드밸런서 타입을 선택합니다. (HTTP)
  • - 로드밸런서 옵션: 로드밸런싱에 사용할 알고리즘을 선택합니다. 각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은 주요 상품 개요를 참고하세요.
  • - Health Check: 서버가 살았는지 죽었는지를 체크할 방법을 입력합니다. 여기서는 간단히 TCP를 선택합니다.
  • - 적용서버: 로드밸런서에 등록할 웹서버와 공인IP포트를 선택합니다. web1서버 공인IP의 20001포트, web2서버 공인IP의 20002포트를 선택합니다.
생성된 Load Balancer를 확인합니다.
목록에서 보이는 IP가 Load Balancer의 서비스 IP(신규 할당된 IP, 211.253.14.96)입니다.
여기까지의 진행사항을 구성도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웹 브라우저에 Load Balancer의 서비스IP를 반복하여 호출해 봅니다.
  • web1과 web2이 번갈아가며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가용성 테스트
Server > Server 에서 web1 서버를 정지한 후 웹 브라우저에서 Load Balancer 서비스 IP로 다시 반복 호출해 봅니다.
web1 서버를 다시 시작하고 웹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IP를 반복 호출하여 결과를 확인합니다.
Cloud LINK를 이용하여 멀티가용성존 아키텍처 구성
다음과 구성도와 같이 서로 다른 Zone에 있는 두 서버 (web1, web3)을 연결하여 멀티가용성존 아키텍처 구성을 해보겠습니다.
Cloud LINK 생성
Network > Cloud LINK에서 [LINK 생성]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 이름: 임의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weblink를 입력합니다.
  • - CIDR: 임의의 사설 대역을 입력합니다. 192.168.0.0을 입력합니다.
  • [생성하기]를 클릭하여 Cloud LINK를 생성합니다.
Cloud LINK 네트워크 생성
Cloud LINK 내 zone에 할당할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생성한 LINK(weblink)를 선택한 후 [네트워크 생성] 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M2존 네트워크를 먼저 생성합니다.
  • - 이름: 네트워크 이름을 입력합니다. b를 입력합니다.
  • - 위치: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Seoul M2 존을 선택합니다.
  • - IP Range: 0~3을 선택합니다. 1을 선택합니다.
생성이 완료되면 다시 목록에서 weblink를 선택하고, [네트워크 관리]를 클릭힙니다.
Cloud Link에 연결할 네트워크 (b_weblink)를 선택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이와같이 M2 zone 네트워크를 생성 및 연결하고, M zone도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 및 연결합니다.
[네트워크 생성]을 클릭합니다.
  • - 이름: a를 입력합니다.
  • - 위치: Seoul M존을 선택합니다.
  • - IP Range: 앞서 선택한 것과 중복되지 않는 것을 선택합니다. 0을 선택합니다.
생성된 M존 네트워크(a_weblink)와 Cloud Link(weblink)를 연결합니다.
[네트워크 관리]를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연결합니다.
Cloud LINK(weblink)에 M존 네트워크(a_weblink)와 M2존 네트워크(b_weblink)가 모두 연결된 것을 확인합니다.
서버를 Cloud LINK에 연결 (web1, web3)
* 참고: web1과 web2는 이미 사설IP 네트워크(hostname)으로 통신이 되는 중이므로, web2 VM에는 수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실제 상용에서는 아키텍처나 소스 코드의 통일성을 위해 모두 Cloud LINK에 연결하는 것이 좋지만, 교육용 실습이므로 생략합니다.
Server > Server에서 web1을 선택하고 숨김메뉴 > [추가 사설IP]를 클릭합니다.
M존에 만들어둔 네트워크(a_weblink)를 선택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서버 목록에서 사설IP가 하나 더 추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web3을 b_weblink에 연결합니다.
Server > Server에서 모든위치 보기를 설정하여 web1과 web3의 추가 사설IP가 잘 추가되었는지 확인합니다.
VM OS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추가하여 Cloud LINK 연결
web1 서버에 접속하여 아래를 수행합니다.
ifconfig
[현재 인터페이스 확인: eth0]
sed -e 's/eth0/eth1/g'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1
ifup eth1
ifconfig
[현재 인터페이스 확인: eth0, eth1]
web3 VM에서도 동일하게 수행합니다.
각 VM에서 확인해보면 eth1에 192.168.0.0/22 대역의 새로운 IP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eth1을 통해 통신이 되는지 ping 확인을 해 봅니다.
ping 192.168.0.56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41 명
  • 현재 강좌수 :  35,855 개
  • 현재 접속자 :  110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