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클라우드 분류

[KT클라우드]서버 이미지 복제 및 userdata 설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동일한 VM 만드는 방법
1. 앞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서버를 생성하고 설치 과정을 거친다.
  • 장점: 심플하다.
  • 단점: 생성할 서버 수가 많아지면 그만큼 작업 시간이 많이 든다.
2. 이미지로 VM 복제: 이미 만든 VM 기반으로 생성한 이미지로 동일한 VM을 만든다.
  • 장점: 여러 VM을 만들 때 시간 효율이 좋으며 작업 시간이 줄어든다. 이미지로 VM 상태를 저장(보존)할 수 있다.
  • 단점: 복제 VM 수가 적은 경우에는 시간 효율이 좋지 않다(이미지 만드는 시간). 유료.
3. userdata로 동일한 서버 생성: VM을 만드는 과정에서 userdata를 입력하여 필요한 구성을 한다.
  • 장점: 심플하다. 무료. 생성할 때마다 변경이 가능하다.
  • 단점: userdata로 만들 수 있는 수준의 한계가 있다.
서버 이미지로 VM 복제하기
디스크/스냅샷/이미지 개요
VM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 VM 정지 > ROOT DISK로 이미지 만들기
  • ROOT 디스크로 스냅샷 만들기 > 스냅샷으로 이미지 만들기
즉, 디스크/스냅샷/이미지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디스크 -> 스냅샷 -> 이미지
이 과정은 VM의 정지와 관계가 없으며, 서비스 중에도 사진 찍듯이(스냅샷) 바로 찍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냅샷은 주로 Data disk 의 상태를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다만, OS disk의 경우 스냅샷 혹은 이미지를 찍어낼 때 정상 부팅이 가능한지, 변동 사항이 없는지 등 문제 발생을 막기 위해 VM 종료 후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VM을 종료할 경우, 스냅샷 과정 없이 바로 이미지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OS Disk
정지했을 때: OS Disk > 이미지
정지하지 않을 때: OS Disk > 스냅샷 > 이미지
* Data Disk
정지 관계 없이: Data Disk > 스냅샷
이미지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OS 가 아니므로)
VM으로 서버 이미지 만들기
Server > Server 에서 앞에서 만든 서버(web1)를 선택하고 [정지]를 클릭합니다.
서버 상태가 정지로 변경되면, 해당 서버를 선택하고 숨김메뉴 > [이미지 생성]을 클릭합니다.
생성할 이미지 이름(web1img)을 입력하고, [이미지 생성]을 클릭합니다.
  • 생성이 완료되면, 정지해둔 VM(web1)을 다시 시작 합니다.
서버 이미지로 동일한 VM(web2) 만들기
내가 만든 이미지로 VM을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 Server > Server > 서버 생성 > 이미지 선택 > 나의 이미지
  • Server > Server Image > 이미지 선택 > 서버 생성
여기서는 두번째 방법으로 진행해보겠습니다.
Server > Server Image 에서 web1img 를 선택하고 [서버 생성]을 클릭합니다.
서버명과 호스트명은 앞서 web1로 만들었으므로, 이번에는 web2로 입력합니다.
서버 사양을 선택하고 서버 생성을 실행합니다.
  • 서버가 완성되면 비밀번호를 메모 합니다.
포트포워딩(접속설정)을 동일하게 수행합니다.
이번에는 기본 공인IP의 10002번 포트와 web2의 22번 포트를 연결합니다.
아래와 같은 구성이 완료 됩니다.
  • SSH로 공인IP:10002로 접속합니다.
  • 이전에 저장한 비밀번호로 접속 합니다.
httpd 서비스가 켜진 web1을 복제하였으므로, web2도 자동으로 httpd 서비스가 구동중일 것입니다.
httpd 서비스 상태를 확인해봅니다.
서비스가 정상이라면, web2를 구분할 수 있도록 index.html을 변경해봅니다.
echo '안녕하세요 web2 입니다' > /var/www/html/index.html
web2도 포트포워딩을 해 봅니다.
web1이 공인IP의 20001번 포트를 사용하였으므로, 이번엔 20002번 포트로 해 봅니다.
아래와 같은 구성이 완료 됩니다.
  • 웹 브라우저에 아래 두 가지 요청을 해 봅니다.
  • - 공인IP: 10002
  • - 공인IP: 20002
userdata로 VM 만들기
userdata 개요
userdata는 VM이 생성된 이후 OS에서 실행할 스크립트를 미리 전달할 수 있습니다.
VM 생성 단계에서 미리 userdata를 파라미터로 입력하면, VM 생성 완료 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즉, VM이 생성되자마자 HTTPD를 미리 설치한 후 자동으로 기동이 되도록 userdata로 처리가 가능합니다.
userdata로 동일한 VM(web3) 만들기
userdata를 이용하여 같은 VM인 web3을 Seoul M2 Zone에 만들어보겠습니다.
Server > Server 에서 [서버 생성] 클릭 후,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 위치: KOR-Seoul M2
  • 서버이름, 호스트이름: web3
  • 운영체제: CentOS 7.0 64bit (default)
  • 사양: 1vCore 1GB (default)
  • 고급설정 체크
고급설정 체크하고 펼쳐지는 메뉴중 userdata 체크하여 VM 생성 후 실행할 명령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래 미리 작성된 스크립트를 복사하여 붙여넣기하고 [생성하기]를 클릭합니다.
yum install -y httpd
echo '안녕하세요. web3입니다.' > /var/www/html/index.html
systemctl start httpd.service
systemctl enable httpd.service
systemctl stop firewalld
systemctl disable firewalld
  • 생성이 완료되면 web3의 22번 포트와 80포트를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공인IP와 포트포워딩(접속설정) 합니다.
  • 여기서는 공용포트 10003과 20003로 포트포워딩 하겠습니다.
  • 웹 브라우저에 공인IP:20003 으로 접근하여 web3이 뜨는지 확인합니다.
생성한 VM(web2, web3) 확인하기
여기까지 진행하고 서버가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41 명
  • 현재 강좌수 :  35,855 개
  • 현재 접속자 :  118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