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netcfg (리눅스 네트웍 제어판 X용)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icon01.gif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icon04.gif1. 네트웍제어판 개론

 리눅스에서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고 네트웍설정을 하려한다면 리눅스 네트웍제어판(netcfg)를 사용하면 된다.

이 netcfg는 X윈도우가 설치되어있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명령어위치 : /usr/sbin/netcfg

명령어의 위치는 위와 같으며 일반적으로 수퍼유저권한(root)으로 실행을 시키면 네트웍설정자가 뜨게된다.

 

icon04.gif2. netcfg 실행

이제 netcfg를 직접 실행시켜보자.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X윈도우가 설정이 된 시스템에서만 이 창이 뜬다는 것을 염두에 두기 바란다.

일반적으로 서버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리눅스인 경우에는 X윈도우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므로 X윈도우를 설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netcfg를 실행시키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

 


icon04.gif3. Names 탭

Names항목에서는 다음과 같은 설정이 가능하다.

Hostname 항목

 - 리눅스서버의 호스트이름(일반적으로 아래 예와 같이 FQDN형식으로입력한다. )

Search for hostnames in additional domains 항목

 - 한 도메인에 대한 추가적인 호스트명을 입력한다.(일반적으로 비워두어도 무관하다.)

 

Domain 항목

 - 도메인(호스트명을 제외함)명을 적는다.

 - 일반적으로 도메인이라하면, superuser.co.kr 또는 kebia.net등이 도메인이며 FQDN이라함은 이 "호스트명+도메인"을 의미한다.

 - 예를 들면 www.superuser.co.kr 또는 ftp.superuser.cokr 또는 www.kebia.net 또는 news.kebia.net등이 FQDN에 속한다.

 

Nameservers 항목

 - 리눅스서버가 도메인을 인식하게끔 하려면 반드시 설정해야하는 항목이다.  

 - 즉, www.kornet.net을 입력했을 때 이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Address를 찾아야할 필요가 있을 때 이 Nameservers에 있는 IP Address에서 그 정보를 가져오게 된다.

 - 이 설정은 반드시 IP Address만으로 입력해야한다. (왜! 당연하지,,,,요)

 - 또한 이 설정은 /etc/resolv.conf 파일에 반영이 되게끔 되어있다.

 

netcfg01.gif



icon04.gif4. Hosts 탭

이 항목은 간단히 /etc/hosts에 등록되는 항목을 설정하는 것이다.

조금의 이론적인 부분을 설명해 본다면, 서버가 어떤 도메인에 대한 IP Address를 알아야할 필요가 있을 때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으로는 방금 위에서 설명드린 /etc/resolv.conf에 설정되어 있는 네임서버에 조회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물론 이 말은 백번 맞는 말이다.

하지만, 굉장히 자주 조회하는 도메인이거나 아주 가까이에 있는 도메인 또는 자기자신의 도메인등에 대한 조회를 굳이 네임서버에 일일이 쿼리(query)한다면 네트웍트래픽에 결코 좋을리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동일네트웍에 있거나, 자기자신의 도메인 또는 굉장히 자주 쿼리(query)되는 도메인에 대해서는 /etc/hosts 파일에 등록해두고 네임서버에 쿼리하기전에 이 파일을 먼저 참조하도록 한다.

이 파일을 참조하여 등록된 도메인이 있을 경우에는 네임서버에 쿼리를 하지 않는다.

 

Hosts 항목에 등록하려면 아래 Add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하면 된다.

netcfg02.gif

등록하는 예가 아래에 나와있다.

 여기에 등록하고 나면 /etc/hosts파일에 자동등록이 되게된다.

netcfg03.gif

 

네임서버설정(/etc/resolv.conf)과 호스트설정(/etc/hosts)에 대하여 간단히 첨언한다면, 네임서버는 사실 인터넷초기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다.

INTERNET의 전신인 ARPANET시절 초기에는 도메인과 IP Address를 맵핑하기 위하여 /etc/hosts파일만을 사용했었다.

그당시에는 새로운 호스트가 등록이 되면 각 서버담당자들은 /etc/hosts파일을 새로이 가져와서 업데이트하곤 했었다.

하지만, 도메인의 수가 엄청나게 많아진 지금에는 지속적으로 빠른 도메인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므로 방금 받아온 hosts파일도 옛날 것이 되어 버리므로 이의 대체수단으로 나온 것이 네임서버이다.

네임서버를 통해서 /etc/hosts파일을 새로 받아오지 않아도 이 네임서버에 쿼리(query)하여 도메인에 대한 IP Address를 받아오면 되기 때문이다.

 



icon04.gif5. Interfaces 탭

이 부분은 리눅스에 장착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설정하는 곳이다.

하나의 리눅스서버에 하나이상의 NIC카드가 장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각각의 네트웍카드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netcfg04.gif

위의 예를 보면 현재 실제 하나의 NIC만이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설정된 장치의 자세한 정보를 보거나 수정을 하려면 해당장치정보위에서 더블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정보확인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netcfg05.gif

또한, 추가로 장착된 NIC이 있다면 아래의 Add를 클릭하여 네트웍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icon04.gif6. Routing 탭

이번에는 리눅스의 라우팅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Routing탭을 보도록 하자.

netcfg06.gif

Network Packet Forwarding(IPv4)

  - 일반호스트로 사용되는 리눅스서버는 자기자신의 패킷외에는 받아들이지 않고 버리게 된다.

  - 하지만, 리눅스서버가 일종의 라우터역할을 한다든지 또는 방화벽등의 역할을 한다면 이를 체크하여 다른곳으로 보내는 패킷을 보낼 수 있도록( packet forwarding) 해야한다.

 

Default Gateway

  - 리눅스의 기본 게이트웨이의 IP Address를 입력한다.

 

Default Gateway Device

  - 기본게이트웨이의 장치명(예, eth0)을 입력한다.

 

아래의 Add, Edit, Remove 버튼은 각각 추가, 변경, 제거를 하는 버튼이다.

 

netcfg에서 변경된 정보가 있다면 반드시 하단의 " Save"를 클릭하여 변경된 정보를 저장해야한다는 것을 잊지 않기 바란다.

 

이상으로 리눅스 네트웍제어판(netcfg)에 대한 설명을 마치면서 질문은 관련 게시판을 통해서 받도록 하겠다.

~~ 꾸벅 ~~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40 명
  • 현재 강좌수 :  35,853 개
  • 현재 접속자 :  168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