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9. 리눅스 설정프로그램 ( 9. 네트웍설정)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icon01.gif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icon04.gif 1. 네트웍설정 개론

리눅스를 설치는 했는데 통신이 안될 때가 있다.

또는 사용중이던 리눅스가 통신이 안되어 애를 먹었던 경험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럴 때 간단히 네트웍설정을 해주는 유틸리티가 있다.

물론, 아래와 같이 네트웍설정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 방법1. 명령어사용 : ifconfig, netstat, route
  • 방법2. 리눅스 네트웍제어판(netcfg)
  • 방법3. setup 유틸리티

위의 방법들은 이미 설명이 되었던 것들이고, 사실 위의 방법들은 네트웍설정만을 하는 유틸리티는 아니며, 네트웍설정유틸리티는 지금 설명드리는 netconfig이다.

우선, 이 명령어의 위치부터 확인해보자.

명령어위치 : /usr/sbin/netconfig


icon04.gif 2. netconfig 실행

이제 netconfig를 실행해보자.

수퍼유저(root)권한으로 실행을 해야한다.

물론 /usr/sbin/netconfig의 파일퍼미션이 변경되어 있다면 다를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정확한 설정을 위해서는 root로 실행을 해야한다.

먼저 이 유틸리티를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 된다.

netconfig01.gif

네트웍설정을 하려면 "Yes"를 클릭한다.


icon04.gif 3. TCP/IP 정보입력1

이제 원하는 네트웍정보를 입력하기만 하면된다.

리눅스서버의 IP변경이나 Netmask 변경또는 gateway변경, nameserver변경등을 할 수도 있다.

각 항목 (IP Address, Netmask, gateway, nameserver)의 개념과 이론적인 설명은 수퍼유저코리아의 "네트웍파트"를 참조바라며, 여기서 네트웍에 대한 이론강의를 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netconfig사용법에 대한강의임을 염두에 두기 바란다.

netconfig02.gif

 

icon04.gif 4. TCP/IP 정보입력2

 

아래와 같이 원하는 정보로 입력을 한후에 아래의 "OK"를 선택하면 된다.

참고로, 각 항목간의 이동은 "TAB"키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맨위의 "Use dynamic IP configuration(BOOTP/DHCP)는 ADSL이나 모뎀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택을 하고, 서버자체가 고정IP로 되어있을 경우에는 클릭하지않는다.

netconfig03.gif

 간단한 설명이지만 이상으로 netconfig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질문은 관련 게시판에서 해주길 바란다.

~ 꾸벅 ~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277 명
  • 현재 강좌수 :  36,953 개
  • 현재 접속자 :  369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