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큐브리드 매니저로 테이블 변경하기 | |
|
|
1. 클래스 이름 변경 |
|
클래스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이름 변경]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한 클래스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의 [이름 변경] 창에서 새로운 클래스 이름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클래스 이름이 변경된다. |
|
2. 클래스 상세 조회 및 편집 |
|
[상세 조회 및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한 클래스의 속성, 인덱스, 소유자 등의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다음의 [클래스 상세 조회 및 편집] 대화 상자는 [일반] 탭, [수퍼 클래스] 탭, [메소드] 탭으로 구성된다. |
|
1) 일반 탭 |
|
[일반] 탭에서는 선택한 클래스의 이름, 소유자, 속성, 인덱스에 관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
|
이름 |
:
|
| 클래스 이름을 나타낸다. |
구분 |
:
|
| 클래스의 구분을 나타낸다. 시스템이 제공하는 시스템 스키마와 일반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 스키마로 나뉜다. |
소유자 |
:
|
| 클래스를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를 나타낸다. |
타입 |
:
|
| 클래스가 일반 클래스인지, 가상 클래스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
속성 |
:
|
| 클래스에 정의된 속성 정보를 보여준다. [추가], [수정], [삭제] 버튼을 이용하여 속성을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다. |
인덱스 |
:
|
| 클래스에 정의된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추가], [삭제] 버튼을 이용하여 인덱스를 추가, 삭제할 수 있다. | |
|
2) 수퍼 클래스 탭 |
|
[수퍼 클래스] 탭에서는 선택한 클래스의 상속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즉, 선택한 클래스의 서브 클래스 및 수퍼 클래스를 추가/삭제할 수 있고, 충돌 해결 규칙을 추가/삭제할 수 있다. |
|
서브 클래스 |
:
|
| 선택한 클래스의 자식 클래스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
수퍼 클래스 |
:
|
| 선택한 클래스의 부모 클래스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
수퍼 클래스의 추가/삭제 |
:
|
| 선택한 클래스와 상속 관계를 가지는 수퍼 클래스를 추가하거나 삭제한다. |
충돌 해결 규칙 |
:
|
| 선택한 클래스에 정의된 상속에 관한 충돌 해결 규칙 정보를 보여준다. |
충돌 해결 규칙의 추가/삭제 |
:
|
| 선택한 클래스의 상속에 관한 충돌 해결 규칙을 추가하거나 삭제한다. | |
|
3) 메소드 탭 |
|
[메소드] 탭에서는 선택한 클래스에 정의된 메소드에 관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
|
메소드 |
:
|
| 선택한 클래스에 정의된 메소드 리스트가 표시된다. |
추가/수정/삭제 |
:
|
| 선택한 클래스에 새로운 메소드를 추가하거나, 정의된 메소드를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
메소드 파일 |
:
|
| 메소드가 구현된 파일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
추가/삭제 |
:
|
| 메소드가 구현된 파일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 |
|
3. 클래스에서 속성 추가 |
|
[클래스 상세 조회 및 편집] 대화 상자의 [일반] 탭에서 [속성] 영역 아래에 있는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속성 추가]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
|
이름 |
:
|
| 추가할 속성의 이름을 입력한다. |
타입 |
:
|
| 추가할 속성의 타입을 선택한다. |
크기 |
:
|
| 추가할 속성의 크기를 선택한다. |
속성 제약 조건 |
:
|
| 추가할 속성의 제약 조건을 선택한다. 클래스 속성, SHARED, NOT NULL, UNIQUE 제약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
DEFAULT |
:
|
| 기본 속성값을 설정한다. | |
|
4. 클래스에서 속성 수정 |
|
[클래스 상세 조회 및 편집] 대화 상자의 [일반] 탭에서 [속성] 영역 아래에 있는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속성 수정]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
|
이름 |
:
|
| 선택한 속성의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
타입 |
:
|
| 선택한 속성의 타입을 보여주며, 수정할 수 없으므로 비활성화된다. |
클래스 속성/SHARED |
:
|
| 선택한 속성에 정의된 제약 조건을 보여준다. 수정할 수 없으므로 비활성화된다. |
NOT NULL/UNIQUE |
:
|
| 선택한 속성에 정의된 제약 조건을 보여준다. 두 항목에 관해서는 수정할 수 있다. |
DEFAULT |
:
|
| 선택한 속성에 정의된 디폴트 값을 수정할 수 있다. | |
|
5. 클래스에서 인덱스/기본키/외래키 추가 |
|
[클래스 상세 조회 및 편집] 대화 상자의 [일반] 탭에서 [인덱스] 영역 아래에 있는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인덱스 추가]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기본키], [외래키], [인덱스] 탭으로 구성된다. |
|
1) 기본키 탭 |
|
이름 |
:
|
| 추가할 기본키의 이름을 입력한다. |
속성 |
:
|
| 기본키가 적용될 속성을 선택한다. 기본키가 적용되는 속성에 대해 [속성사용] 항목을 선택한다. | |
|
2) 외래키 탭 |
|
이름 |
:
|
| 추가할 외래키의 이름을 입력한다. |
대상 클래스 |
:
|
| 생성할 외래키의 대상 클래스를 선택한다. |
대상 클래스 기본키 |
:
|
| 대상 클래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대상 클래스의 기본 키 정보가 표시된다. |
속성 |
:
|
| 대상 클래스 기본키의 속성에 대응되는 속성을 지정한다. | |
|
3) 인덱스 탭 |
|
이름 |
:
|
| 추가할 인덱스의 이름을 입력한다. |
인덱스 타입 |
:
|
| 추가할 인덱스의 종류를 선택한다. 인덱스 종류에는 UNIQUE/INDEX/REVERSE INDEX/REVERSE UNIQUE가 있다. |
속성 |
:
|
| 인덱스가 적용될 속성을 선택한다. 인덱스가 적용되는 속성에 대해 [속성사용] 항목을 선택하고, [순서] 항목에서 ASC 또는 DESC를 선택하여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을 선택할 수 있다. |
화살표 버튼 |
:
|
| 인덱스의 속성 순서를 화살표 버튼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인덱스가 적용될 속성을 선택한 다음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인덱스 순서에 맞게 이동시킨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