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리눅스설치와 초기설정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공개SW리뷰 3편


제목 : 리눅스설치와 초기설정





ㅇ 제작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서버관리팀


ㅇ SULINUX  홈페이지 : www.sulinux.net

ㅇ 리눅스포털 홈페이지 : www.superuser.co.kr





























리눅스설치와 초기설정(SULinux)


1. CD 부팅화면


CMOS에서 부팅순서를 변경하셨다면  SULinux 1.0 Server CD를 CR-ROM에 넣고 부팅한다.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게 된다면 CD 부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PIC3FD.JPG

[그림] CD 부팅화면


SULinux는 테스트 기반의 OS 설치방법을 선택하였습니다. 따라서 그래픽(GUI) 모드는 지원되지 않는다.

이는 설치시 자원의 최소 사용, 설치시간의 단축을 통해 직관적인 설치를 위하여 SULInux에서 선택한 방법이다.


[Enter]를 누르면 Text기반의 리눅스 설치화면을 보시게 된다.


※ Text 화면에서의 커서이동은 Tab키와 방향키을 이용하여 이동 할 수 있다.


화면 모드 설명


boot prompt 다음에 입력할 값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와주는 화면들의 단축키이다.

F1

 Main 설치화면

F4

 Kernel Parameter 도움말

F2

 Options 설명 화면

F5

 Rescue Mode 도움말

F3

 Boot 도움말

 

 


2. 파티션 설정 - 설치 1 단계


SULinux 설치는 기존 다른 OS설치와 큰 차이는 없다. 하지만 설치에서 가장 어렵고 중요한 부분이 파티션 설정 부분이다. 다른 설치 부분은 대부분 자동을 진행되므로 힘들지 않지만 파티션 설정부분은 약간의 사전 지식이 없으면 설정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울 수 있다. 이 부분의 사전지식은 "설치 사전준비"부분을 읽어 본 후에 진행하기를 권한다. 지금부터 파티션 설정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파티션을 설정 방법은 "자동 파티션 설정"과 "Disk Druid(수동파티션설정)" 두가지 방법을 지원한다. 이 부분의 설정은 하드디스크의 모든 정보를 삭제하므로 반드시 숙지하시어 설정해 주시기 바란다. 설정의 실수로 인한 데이타 손실은 저자나 SULinux에서 책임지지 아니하므로 다시 한번 신중이 고민하시어 설정하여주시기 바란다.(파티션 설정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는 "자동 파티션 설정"을 권장한다)


[자동 파티션 분할]은 현재 시스템에 있는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분할 상태를무시하고, SULinux에서 제공하는 가장 최적화된 구조로 파티션을 재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즉, 최적화된 환경으로 리눅스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옵션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기존에 사용하는 파티션이 있는 경우 모두 초기화가 될수 있다. 윈도우를 이미 설치해서 같이 사용하길 원하거나, 기존 데이터의 보존이 필요한 경우에는 자동 파티션 설정 진행중 파티션 삭제 부분에 주의해서 사용하면 된다.


[Disk Druid를 통한 수동 파티션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파티션을 조정할 수있으므로, 기존의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이 옵션으로 설치를 진행하면 될 것 이다.

자동 파티션 설정 방법


PIC3FE.jpg

[그림] 파티션 설정


자동 파티션은 파티션의 용량 계산을 자동으로 진행하여 먼저 자동 계산된 용량을 보고 설치자가 용량 수정이 필요할 경우 수정 용량으로 설정 할 수 있는 설정방법이다.


자동 파티션 설정 1단계는 아래 그림처럼 설치할 드라이브 지정과 파티션 삭제 유무를 선택한다.


PIC3FF.jpg

[그림] 자동 파티션 설정 I


위의 3가지 항목 중에서 적절한 항목을 선택하여 파티션 설정을 진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시스템에 있는 파티션을 보존할 필요 없이 리눅스만을 설치하여 사용할 예정이라면, “시스템상의 모든 파티션 삭제”를 선택하면 된다.


자동 파티션 설정 2단계는 아래 그림처럼 파티션 삭제에 대한 경고창을 볼 수 있다.


PIC400.jpg

[그림] 자동 파티션 설정 II


자동 파티션 설정 3단계는 아래 그림처럼 자동 계산된 파티션 결과값을 보여주고, 사용자 필요에 따라 파티션 수정이 가능한다.


PIC401.jpg

[그림] 자동 파티션 설정 III


파티션 편집  방법은 수동 파티션 설정방법을 참고하여 설정하면 된다. 다음의 수동 파티션 설정을 참고하면 된다.


Disk Druid(수동파티션설정)


[그림 2] 파티션 설정 그림에서 "Disk Druid" 버튼을 눌러 "수동 파티션 설정"을 진행한다. 수동 파티션 설정의 1단계는 아래 그림]과 같이 파티션을 편집 할 수 있는 화면을 보게 되는것이다.


PIC402.jpg

[그림] Disk Druid 설정화면


리눅스에서는 hda, hdb, sda, sdb 등과 같이 하드웨어적인 세부사항을 파티션 명칭으로 나타내므로 좀 더 명확한 파티션 구분이 가능하다.


위의 [그림 6]은 아무런 파티션 설정을 하지 않은 1.5GB의 SCSI 하드디스크의 초기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앞에서 설치 전 준비 사항에서도 읽어보셨겠지만 일반적으로 Linux는 아래 두개의 기본 파티션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한다.


• 루트(/) 파티션

• 스왑(swap) 파티션


루트(/) 파티션은 윈도우에서와 같이 운영체제(OS)가 설치되는 최상위 파티션이며 그 하단에 각각의 디렉터리 및 파일들이 생성된다. 윈도우에서는 'Documents and Settings', 'Program Files', 'WINNT' 등의 디렉터리들이 생성되는것과 같이 리눅스에서는 /boot, /var, /root, /home, /backup 등의 디렉터리들이 생성되게 된다.


리눅스에서는 루트(/) 아래의 각각의 디렉토리들을 별도 파티션으로 설정이 가능한다. 서버 시스템에는 보안성 향상과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주요 디렉터리를 별도의 파티션으로 구현하기도 한다.

스왑(swap) 파티션은 하드디스크의 별도 파티션을 가상메모리 공간(물리적 메모리의 한계치를 극복하기위한 공간)으로 할당하여 사용한다.


※ 참고

가상 메모리가 별도의 고정된 파티션에서 사용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메모리 관리가 가능한다.


파티션 추가


PIC403.jpg

[그림] 수동 파티션 추가 화면 1


앞서 말한바와 같이 루트(/)파티션과 스왑(swap)파티션을 생성해 보도록 하겠다. 화면 중간에 있는 버튼들 중에서 [새로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PIC404.gif

[그림] 파티션 추가 화면2


※ 그림설명

메    뉴

설명 및 옵션

예    제

마운트할 지점

디렉토리 경로를 설정

/

파일시스템 유형

파일시스템의 유형을 선택

옵션) ext2, ext3, physical volum (LVM), software RAID, swap, vfat

ext3

할당 가능한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종류 및 순서를 나타냄

[*]sda

용량(MB)

설정하고자는 용량을 MB단위로 작성

옵션)

   -. 고정용량

   -. 다음의 용량까지 모두 채움(MB)

   -. 최대 가능한 용량으로 채움

1000MB(1GB)로 설정

[*]고정용량선택

첫번째(primery) 파티션으로 함

파티션의 첫번째에 설정하도록함

선택하지 않음


루트 파티션 생성을 [마운트할 지점] 부분을 “/”로 선택해 주시고, [파일시스템 유형]에서 "ext2"  또는 "ext3"을 선택한다. [용량] 부분에서 사용될 적절한 용량을 지정해주시고 고정용량에 체크하고 확인을 누른다.


PIC405.gif

[그림] / 파티션 설정


다음으로 스왑 파티션 생성을 위해 다시 [새로생성]버튼을 누른다. [파일시스템 유형]에서 “swap”을 선택한다. swap 용량 부분에는 많은 문서에서 현재 시스템의 메모리 용량의 약 2배 정도를 입력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1GB이상 설정 할 경우 공간 낭비가 될수 있으니 메모리가 1GB일경우 swap을 2GB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 그냥 1GB로 잡으시기를 권한다. 특별히 필요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swap은 1GB정도가 정당 할 것이다. (예: 현재 시스템에 탑재되어 있는 메모리가 256MB이면, “512”라고 입력한다.)


PIC406.gif

[그림] swap 파티션 설정


모든 설정이 끝났으면 확인을 눌러, '/' 파티션과 스왑 파티션이 계획한대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하시가 바란다.


PIC407.gif

[그림] /, swap 파티션 설정 후 화면


위 그림처럼 여유 공간(여 공간)이 있다면 편집을 눌러 용량 할당을 다시 할수 있다. 여기서는 남은 공간 모두를 루트(/) 파티션으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파티션 편집


위 그림(파티션 설정 후 화면)의 '장치'라는 메뉴에서 sda1이라는 곳을 선택하고 선택메뉴에서 [편집] 버튼을 누른다. 그림(파티션 설정)의 용량 메뉴의 하단에 있는 [최대 가능한 용량으로 채움]에 체크를 하여 자동으로 최대용량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확인 버튼을 눌러서 아래 그림처럼 현재 설정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PIC408.gif

[그림 12] '/' 파티션 수정 결과


파티션 삭제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파티션을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파티션을 선택한 다음 화면 중앙에 있는 [삭제] 버튼만 클릭하며 삭내가 이루어집니다.



※ 참고 사항

다음은 서버용도에 따른 파티션 설정의 예제이다.(HDD 80G, RAM 512MB 기준) 모든 서버의 Swap 용량은 서버용으로 약 1G정도가 적당 할 것이다.


종류

기본 서버 또는 Name 서버

설명

가장 간단한 설치 방법이며 기초적인 설치 방법이다. 파티션은 기본파티션(/)과 가상 메모리용 파티션(swap)으로 설치한다.

권장용량: /는 전체용량중 98%, Swap은 전체용량중 2% 할당을 권장한다.

예제

/ : 79G, swap : 1G

종류

Web 서버

설명

Web 서비스만을 위한 서버구축인 경우 /usr/local/apache/htdocs, /var/www/html, /home과 같은 곳의 공간이 많이 필요한다. 이는 web서비스를 하는 apache의 환경설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 질수 있는 문제이므로 apache 설정부분을 좀 더 참고하시도록 하자 본 문서는 SULinux의 APM_install-tools을 이용한 Web 서버 구축이므로 /usr/local/apache/htdocs나 /home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하겠다. 권장용량 : /는 전체용량의 12%, /home은 전체용량의 55%, /usr은 전체용량의 31% 할당하는 것을 권장한다.

예제

/ : 10G, /home :44G G, /usr : 25G, Swap : 1G

종류

Mail 서버

설명

Mail 서버로만으로 서버를 구축 할 경우 /var/spool, /home에 데이터가 주로 저장 되지만, 메일 솔루션을 사용하게 될 경우 DBMS가 어디에 설치되는지에 따라 달라 질수 있다. 본 문서는 기본 메일 서비스를 위한 설정이므로 솔루션을관련 사항은 제외하겠다. 권장용량 : /는 전체 용량의 12%, /home은 전체용량의 37%, /var은 전체용량의 48%를 할당하기를 권장한다.

예제

/ : 10G, /home : 30G, /var : 39G, Swap : 1G

종류

FTP 서버

설명

FTP 서버는 활용용도에 따라 일반계정 접속용인지 익명접속자용인지에 따라 구분 될 수 있다. 일반계정별 접속용이라면 /home 용량을 크게 익명접속자용이라면 /var/ftp 용량을 크게 잡아야 한다. 권장용량 : /는 전체용량의 12%, /home은 전체용량의 43%, /var/ftp은 전체용량의 43% 를 할당하는 것을 권장한다.

예제

/ : 10G, /home : 35G, /var : 34G, Swap : 1G

종류

DB 서버

설명

DB 서버 구축은 어떤 DBMS를 구축하는지에 따라 또는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본 문서에서는 별도의 DB 공간(보통 새로운 Application 설치시 사용하는 /usr/local공간을 사용)을 만들어 그곳을 할당하는 것으로 설명하겠다. 권장용량 : /는 전체용량의 18%, /usr/local은 전체용량의80 %를 할당하는 것을 권장한다.

예제

/:15G, /usr/local : 64G, Swap : 1G

종류

Web/Mail/FTP/DB/Name 서버

설명

소호용 서버나 개인적 활용서버들은 대부분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을 거라 생각한다. 이와 같은 서버들은 기본서버 또는 Name서버의 파티션과 같이 기본적인 파티션으로 서비스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서버 확장이나 데이터 이전 기타 상황에 대쳐이기 위해서는 유동성 있는 파티션 용량 분배가 있어야 할 것이다. 기본적인 설치를 한다는 전제조건하에서 권장 용량 : /는 전체용량의 11%, /usr는 전체용량의 18%, /var는 전체용량의 18%, /home는 전체용량의 37%를 할당하는 것을 권장한다.

예제

/ : 9G, /usr : 15G, /var : 15G, /home : 30G, Swap : 1G


위의 권장사항 및 예시는 말 그대로 권장과 예시일 뿐이지 서버에 꼭 맞는 설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자신의 서버를 구축함에 있어 용량을 잘 고려하시어 설정하시를 바란다.


※ 참고 사항

 에스유리눅스에서 제공하는 SSU라는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백업 설정을 한다면 파티션 설정시 /backup 이란 파티션을 추가하여 백업 받은 파일을 별도 파티션에 저장해두는 것이 하드디스트 용량 관리 및 백업관리에 더욱 효율적이다.


여기까지가 파티션에 관한 설정 방법이다.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면 인터넷이나 기타 문헌을 참고하자

3. root 암호 설정 - 설치 2 단계


아래 그림은 Root암호 설정하는 화면이다. root라는 계정은 OS라 설치된후 시스템 전체를 관장 할 수 있는 계정이므로 아주 중요한 계정이다. 이 계정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는 root계정의 암호을 잘 관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일반 사용자 계정은 설치가 완료되 이후에 root계정으로 로긴하여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root계정 관리에 좀더 주의를 하여야한다.


PIC409.gif

[그림 13] Root암호 설정화면


Root 암호 설정이 끝났으며 확인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 참고 사항


암호 생성하기위해서는 유일무이하여야 하며, 암호를 사용할 사용자만이 기억 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외의 누구도 추측이 불가능하여하며, 6자이상의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포함은 긴 암호를 생성은 것이 좋다.

가끔 연속된 숫자(1234, 1111과 같은 숫자), 전화번호, 생년월일 그리고 아이들의 이름 등과 같은 공개된 정보를 암호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보안에 매우 좋지 못한다.


좋은 암호의 예


“^spAh^3zoqxls!” 이것을 해석하면 “^네모^3캡틴!”가 된다. 네모캡틴은 나의 알려지지 않은 개인적 닉네임이고 웃은 모습과 3은 내가 좋아하는 숫자이다. 따라서 암호를 관리하는 나는 쉽게 외울 수 있고 기억하지만 누구도 쉽게 예측하기가 힘들다. 예제 암호이므로 이것을 사용하란 말은 아니라  이글을 읽으시는 독자가 직접 좋은 암호를 만들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4. 포맷 및 패키지 설치 - 설치 3 단계


이제까지의 화면은 지금부터 작업할 화면을 위한 준비 단계였습니다. 이제 실제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고(파티션 설정에 맞게 기존 데이타를 삭제함), SULinux에서 제공하는 패키지들을 자동 설치 한다.


PIC40A.jpg PIC40B.jpg

[그림] 포맷 및 패키지 설치 설정화면


SULinux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중 중요 패키지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웹서비스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Apache, PHP, MySQL을 사용자가 원한는 버전별 선택하여 쉽게 설치 할 수 있게 하는 APM_install-tools이란 것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는 시스템 관리를 위해 필요한 많은 기술과 명령어를 한번에 관리할 수있는 SSU라는 툴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 편의성과 SULinux 최적화에 주안점을 두어 패키지화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 편의성과 안정성을 상당 수준으로 높혀 놓았습니다.


5. 설치 마무리 및 리부팅 - 설치 4단계 I


SULinux 설치가 마무리 되면 서버를 자동 리부팅한다. 재시작시 설치CD는 제거해주시거나, COMS 설정중 부팅 순서를 하드디스크 부팅으로 변경해주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설치 화면을 보시게 될 것이다.


이것으로 모든 설치가 완료되었다. 이제 여러분은 어렵게만 느껴지던 Linux의 세계를 SULinux를 통해 쉽게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다.

SULinux Server 1.0버전을 설치하고 나면 기본적으로는 외부로부터의 모든 접근이 열여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외부로 부터의 침입 및 각종 보안 설정을 직접하여야 한다. 보안이라고 하면 아주 어렵고 힘든 작업이라고 생각될수 있는데 SULinux를 통해 간단한 설정 몇 가지고 보안을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외 원하는 Linux관련 서비스 역시 SULinux를 통해 쉽게 서비스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 이다.


PIC40C.jpg PIC40D.jpg

[그림] 설치 마무리 및 설치후 리부팅 화면


6. 재시작 화면 및 SSU 초기화 작업  - 설치 4단계 II


지금까지의 모든 작업은 SULinux를 하드디스크에 설치하는 과정이였습니다. 이제 서버가 재시작되면 [그럼16]과 같은 화면을 보시게 될것이다.


PIC40E.jpg

[그림] 설치 후 재시작 화면


“ 설치 후 재시작 화면”그림에서 화면 맨위의 펭귄은 CPU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펭귄이 한 마리로 보였다면 CPU의 개수는 하나인것이다. 이렇게 직관적으로 CPU의 개수를 확인하실 수 있다.


SULinux 설치후 최초 부팅과정이 끝나며 SSU라는 SULinux에서 제공하는 서버관리 유틸리티의 초기화 작업이 이루어집니다.([그림 17]참고) 이 작업에 의해 SULinux가 설치된 서버의 기본 보안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환경으로 재구성 및 설치가 정상적이였는지 간략히 점검하게 된다.


PIC40F.jpg

[그림] 재시작 후 SSU(서버관리유틸리티) 초기 설정


7. SULinux 설치 완료 설명 화면 - 설치 4단계 III


SSU 유틸리티 초기화 작업이 끝나면 간단한 SULinux의 설명과 참고 URL정보를 보여준다.


PIC410.jpg

[그림 18] SULinux 설치 완료 설명 화면

8. 서버IP 설정 화면 - 설치 4단계 IV


네트워크 설정


마지막으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네트워크 설정은 보통 DHCP라는 자동 IP 할당방식과 직접 IP를 설정해야하는 고정 IP 방식이 있다.


DHCP(자동IP할당) 방식의 네트워크를 사용한다면 기본 설정값 그대로 두기위하여 [아니오] 버튼을 누르시면 되고, 만약 별도의 고정IP를 할당받아 사용하시는 경우라면 [예] 버튼을 눌러 IP 관련 설정 직접하면 된다.


이하에 설명은 서버를 위한 고정IP 설정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IP에 관해 잘 모르신다면 네트워크 공급자에게 문의해보시길 바란다.

설치후에 이런 설정을 하는 이유는 설치도중 어떤 정보도 외부로 보내지 않으며 또한 설치후 초기 침입 자체를 막기 위해서 이다.


네트워크 설정 1단계


 PIC411.jpg

[그림] 네트워크 설정 1단계


IP 설정을 원하면(고정IP사용) [예]버튼을 그렇지 않고 DHCP(자동IP할당)을 원하면 [아니오]버튼을 선택하여 주면 된다.


DHCP란 우리가 흔히 가정에서 사용하는 PC에서 할당되는 IP처럼 임으로 정해진 IP리스트를 통해 자동IP할당을 받아 네트워크를 구현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서버용으로 DHCP를 사용하는 경우는 특수한 경우이므로 서버를 운영할 계획이라면 고정IP 선택을 권장한다.


네트워크 설정 2단계


PIC412.jpg PIC413.jpg

[그림] 네트워크 설정 2단계


고정 IP 셋팅을 위해서는 IP, netmask, gateway, DNS 서버 정보가 있어야 한다.(각각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http://www.superuser.co.kr 또는 기타 문헌을 참고하길 바란다.) 설정이 끝나고 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재시작하게 된다.


IP 주소 : 192.168.1.10

넷마스크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IP) : 192.1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35 명
  • 현재 강좌수 :  35,798 개
  • 현재 접속자 :  160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