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상태 점검하는 방법 1편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1,23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제목 : 시스템 상태 점검하는 방법 1편
ㅇ 제작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서버관리팀
ㅇ SULINUX 홈페이지 : www.sulinux.net
ㅇ 리눅스포털 홈페이지 : www.superuser.co.kr
시스템 상태 점검하는 방법
서버관리에서 시스템 상태 체크는 서버관리자의 주업이므로 이것을 제외한다면 서버관리자가 회사나 연구소등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 그만큼 시스템 상태 체크는 중요하고 할 일이 많다. 이렇게 중요한 일을 일일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확인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판단에서 SULinux팀에서는 상태점검결과를 한눈에 점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ssu사용법의 “6-3-10. web 결과 화면 분석방법”을 참고하기 바란다. 아래의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서버관리자라면 알고있어야 하는 명령어이므로 아래 명령어의 역할을 이해한 상태에서 SULinux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상태 결과값을 이해하면 더욱 많은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1. uptime
uptime는 현재 로그인 후의 서버에 머물고 있는 총 시간과 간단한 시스템 사용 현황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실제 사용의 예
설명 : 현재시간, 로그인된 시간, 사용자수, load average를 보여준다.
(load average는 지난 1분, 5분, 15분에 대한 평균값이다.)
2. free
free는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메모리상태정보는 free외에도 top 명령어 또는 /proc/meminfo 파일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한다.
free [옵션]
옵 션 |
설 명 |
-m |
MB 단위로 보여준다. |
-k |
KB 단위로 보여준다. |
실제 사용의 예
대표 항목 |
세부 항목 |
Mem : 실제적인 메모리의 상태 |
total : 전체메모리 used : 사용중인 메모리양 free : 사용되지 않고 있는 메모리 share : 프로세스간 공유되고 있는 메모리 buffers와 cached : 현재 디스크의 버퍼 및 캐쉬로 사용되는 메모리 공간 |
-/+ buffers/cache |
물리적인 메모리에서 버퍼로 사용되는 부분을 제외한 값 |
Swap : 스왑공간의 상태 |
total : 전체스왑의 크기 used : 사용 중인 스왑 free : 사용되지 않는 스왑 |
3. vmstat
프로세스, 메모리, 페이징 ,블럭장치의 I/O, CPU의 활동상태 등을 보여주는 명령이다.
vmstat [options]
옵션 |
설 명 |
-n |
delay시간 및 count를 지정할 수 있다. |
-V |
버전을 보여준다. |
항목 설명
항 목 |
설 명 |
procs |
- r : 실행시간을 위해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의 수 - b : 계속 잠들어 있는 프로세스의 수 - w : swapped out 되었거나 실행가능한 프로세스의 수 |
memory |
- swpd : 가상메모리로 사용되고 있는 양(KB) - free : 쉬고 있는 메모리의 양(KB) - buff : buffer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양(KB) - cache : cache로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양(KB) |
swap |
- si : 디스크에 swapped in된 양(KB) - so : 디스크에서 swapped out된 양(KB) |
io |
- bi : 블록 디바이스에 보낸 블록수 (blocks/s) - bo : 블록 디바이스로 부터 받은 블록수 (blocks/s) |
system |
- in : 초당 발생한 interrupts의 수 - cs : 초당 발생한 context switches(문맥 교환)의 수 |
cpu |
us, sy, id를 총 100%로 보고 각각의 퍼센트로 보여준다. - us :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시간 - sy :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시간 - id : idle 시간 |
실제 사용의 예
설명 : vmstat 명령을 실행한 화면이다.
각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항목설명표를 참고 하길 바란다.
설명 : 2초 간격으로 5개의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여 보여준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