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리눅스 네트워크관리 1편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제목 : 리눅스 네트워크관리 1편





ㅇ 제작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서버관리팀


ㅇ SULINUX  홈페이지 : www.sulinux.net

ㅇ 리눅스포털 홈페이지 : www.superuser.co.kr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1. 네트워크 관련 파일



/etc/sysconfig/network


전체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항목들이 들어있는 파일이다. 게이트웨이주소, 호스트네임 등이 기록된다.


항 목

설    명

NETWORKING = yes|no

네트워킹 사용 유무를 지정한다.

HOSTNAME = 호스트이름

전체도메인이름을 지정을 기본으로 하나 임의로 지정해도 상관없다.

GATEWAY = 게이트웨이 IP

게이트웨이 IP를 지정한다.

GATEWAYDEV=디바이스명

GATEWAY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지정한다.

NISDOMAIN = NIS 도메인이름

NIS 도메인 이름을 지정한다.


실제 설정화면


PIC394.gif



항목

설    명

NETWORKING=yes

네트워크를 작동시킨다.

HOSTNAME=localhost.localdomain

호스트이름을 나타낸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토리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 되는 디렉토리이다.


이 디렉토리 이하의 파일중 ifcfg-eth로 시작하는 파일명은 이더넷 카드에 대한 설정을 담고 있는 파일이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첫번째 이더넷카드의 설정파일이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1 : 두번째 이더넷카드의 설정파일이다.

이더넷카드가 추가되면 위의 파일명 형식에서처럼 eth2, eth3와 같이 늘어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ifcfg-ethx의 주요설정


항   목

설    명

DEVICE=디바이스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명을 나타낸다.

BOOTPROTO=none|static|dhcp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고정아이피인 경우에는 static 유동아이피인 경우에는 'dhcp'가 된다.

IPADDR=아이피주소

부여받은 IP어드레스를 적으면 된다.

NETMASK=넷마스크값

부여받은 넷마스크값을 적으면 된다.

NETWORK=네트워크주소

부여받은 네트워크주소값을 적는다. 보통 부여받은 아이피의 맨 끝자리가 0인 값이다.

BROADCAST=브로드캐스트주소

부여받은 브로드캐스트값을 적는다. 보통 부여받은 아이피의 맨 끝자리가 255인 값이다.

GATEWAY=게이트웨이주소

이 파일에 게이트웨이값을 부여하면 /etc/sysconfig/network파일의 설정은반영되지 않는다.

USERCTL=yes|no

네트워크인터페이스의 작동 유무 결정은 root만이 가능한데 일반 사용자도 작동 가능하게 해주는 설정이다.

PEERDNS=yes|no

dhc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값을 yes로 설정하는데 DNS서버 관련파일인 /etc/resolv.conf 파일에 설정내용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

ONBOOT=yes|no

부팅시에 해당디바이스 활성화 유무를 결정한다.


실제 적용의 예


PIC395.gif



설명 : ifcfg-eth0라는 첫 번째 이더넷카드에 설정된 값이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range0 파일을 생성하거나 존재한다면 이 파일의 역할은 하나의 이더넷카드에 여러 IP를 한번에 부여할 수 있게 한다.


실제 사용의 예

PIC396.gif

[그림] ifcfg-eth0-range0 관련 설정 실행 화면



설명 : eth0 이더넷카드에 10.100.1.231부터 10.100.1.235까지 IP를 추가 할당한 화면이다. C클래스 기준으로 최대 256개까지 부여할 수 있다.



/etc/host.conf


DNS 서비스를 제공할 때 먼저 이 파일을 검사하여 파일의 설정에 따라 서비스한다.


실제 적용의 예


PIC397.gif



설명 : order이후의 설정에 의해 /etc/hosts 파일을 먼저 검색 후 /etc/resolv.conf 파일 내용을 참조하여 DNS서버의 정보를 검색한다..



/etc/hosts


DNS 서버를 사용하기 이전에 검색하는 파일로 IP주소와 호스트 이름을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사용하는 파일이다. 로컬 네트워크상에서 접속을 쉽게 하기 위해 등록해서 사용 할 수 있다.

작성방법은 한줄에 3개의 필드로 구성된 형식으로 IP, 전체 도메인명, 별칭 순으로 작성하면 된다.


실제 적용의 예


PIC398.gif



설명 : 기본 3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고, IP, 전체 도메인명, 별칭 순으로 127.0.0.1, loclahost.localdomain, localhost로 작성되어있다. 현재시스템을 접속할 때 그냥 localhost라고해도 된다는 말이다.([root@localhost ~]# ping localhost) 만약 192.168.1.200번 서버를 www라는 별칭으로 접속을 원한다면 "192.168.1.200    www.server200 www"라고 작성해 넣은 후[root@loclahost ~]# ping www 명령을 내리면 192.168.1.200으로 ping 테스트를 하게 된다.



/etc/resolv.conf


사용하고자 하는 네임서버(DNS)를 설정하는 파일이다. 보통 자신이 속한도메인을 관장하는 DNS서버를 먼저 등록하고, 그 외에 공개된 DNS 서버를 등록한다.


실제 설정의 예


PIC399.gif



설명 : search는 기본을 검색하는 도메인을 지정할 때 사용하지만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nameserver에 사용하는 네임서버의 IP를 지정하면 된다. 순서는 위해서 아래순으로 검색한다는 점이 유의하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39 명
  • 현재 강좌수 :  35,848 개
  • 현재 접속자 :  71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