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디스크파티션설정및관리강좌 fdisk 2편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디스크파티션설정및관리강좌 fdisk  2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

 

1   : 디스크파티션 설정, 관리를 위한 fdisk 개론

2   : 현재 모든 디스크의 파티션설정현황 파악하기

3   : 특정 파티션을 대상으로한 fdisk 시작과 종료

4   : 해당 디스크장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fdisk실행

5   : fdisk모드에서 현재 설정된 디스크 파티션정보 확인하기

6   : fdisk로 하드디스크 파티션 설정하기

7   : 파티션 타입(types) 확인하기

8   : 스왑영역으로 사용할 파티션 설정하기

9   : 리눅스 부팅파티션 설정하기

10  : 특정 파티션 삭제하기

 

 

 

ㅇ 제작자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xml:namespace prefix = st1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smarttags" /><?xml:namespace prefix = st2 ns = "urn:schemas:contacts" />박성수

 

ㅇ 본강좌의 자세한 정보 : http://www.superuser.co.kr/linuxcommandbible/

 

 

 

 

 

 

 

 

 

 

 

 

 

 

 

 

 

 

 

 

 

6 : fdisk로 하드디스크 파티션 설정하기

 

이제 fdisk의 본격적인 작업인 파티션 설정작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파티션설정작업을 하기 전에 반드시 "파티션 설정계획"을 세우셔야 합니다.  , 무턱대고 fdisk를 먼저 실행시켜서 파티션설정을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지만 이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반드시 fdisk로 파티션작업을 하기 전에 대략 다음과 같은 파티션설정 계획이 세워져 있어야합니다.

 

       - 대상 디스크의 전반적인 용도를 결정한다.

       - 디스크의 전체용량이 얼마나 되는가를 확인한다.

       - 디스크를 몇개의 파티션으로 나눌 것인가를 결정한다.

       - 나뉘어지는 각각의 파티션들의 용량은 얼마로 할것인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파티션 설정계획이 세워져 있어야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전적으로 필자의 생각이므로 굳이 따르지 않아도 무관합니다. 

 

하지만 파티션을 설정할 때에는 어떻게, 어떤용도로, 몇개의 파티션을, 어떻게 설정할것이다.”라는 정확한 계획을 세운 후에 fdisk작업을 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먼저, /dev/hdb에 새로운 파티션을 설정하는 실습을 하기위하여 기존에 있던 /dev/hdb의 모든 파티션을 삭제 하였습니다.  필자의 경우에는 /dev/hdb가 테스트디스크이기 때문에 파티션을 함부로 지워도 무관하겠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디스크의 파티션을 함부로 삭제하시면 큰 낭패를 볼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자가 간략히 세운 파티션설정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해당 디스크는 모두 데이터저장용으로 사용한다.

       - 해당 디스크의 전체용량은 6GB이다.

       - 디스크를 3개의 파티션으로 나눌 것이다.

       - 가능한 2GB 3개의 파티션으로 나누고자한다.

 

이상과 같이 파티션을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과 같이 파티션을 설정할 것입니다.

 

먼저, "fdisk /dev/hdb"라는 명령어로 fdisk를 실행을 시킵니다.  그리고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기 위한 "n"이라는 fdisk명령어를 실행 시켰습니다. 그런 다음 첫번째 파티션이므로 "p"를 입력하고 파티션번호 "1"을 입력 하였습니다.  , /dev/hdb1을 생성한 것입니다.

 

그리고 용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첫번째 실린더(cylinder)부터 용량이 "2048M", 2GB되는 용량까지를 /dev/hdb1파티션의 용량으로 설정 하였습니다.  이것이 첫번째 파티션설정이 되었습니다.

 

[root@file root]# fdisk /dev/hdb

 

Command (m for help):

Command (m for help): n

Command action

   e   extended

   p   primary partition (1-4)

p

Partition number (1-4): 1

First cylinder (1-784, default 1): 1

Last cylinder or +size or +sizeM or +sizeK (1-784, default 784): +2048M

 

Command (m for help):

Command (m for help): p

 

Disk /dev/hdb: 6448 MB, 644861952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784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b1             1       250   2008093+  83  Linux

 

Command (m for help):

 

그런 다음 다시 "p"로 방금 설정한 /dev/hdb1파티션을 확인한 것입니다.

 

이제 여기서 또 다른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다시 fdisk명령어인 "n"을 입력 하였습니다.  그리고 p를 입력하고 두번째 파티션이므로 2를 입력 하였습니다.  그리고 첫번째 파티션에서 설정한 마지막 cylinder번호가 250번이였으므로 여기서 설정하고 있는 두번째 파티션의 시작 cylinder번호는 251번으로 하였습니다.

 

기본값으로 나와 있으므로 그냥 "Enter"만 입력하여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두번째 파티션의 용량도 "2048M", 2GB로 설정 하였습니다.

 

Command (m for help): n

Command action

   e   extended

   p   primary partition (1-4)

p

Partition number (1-4): 2

First cylinder (251-784, default 251): 251

Last cylinder or +size or +sizeM or +sizeK (251-784, default 784): +2048M

 

Command (m for help):

Command (m for help): p

 

Disk /dev/hdb: 6448 MB, 644861952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784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b1             1       250   2008093+  83  Linux

/dev/hdb2           251       500   2008125   83  Linux

 

Command (m for help):

 

그리고 "p"로 방금 설정한 파티션 설정정보를 확인 하였습니다.

 

이제 세번째 파티션을 설정하기 위하여 다시한번 "n"을 입력 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p"와 세번째 파티션이므로 "3"을 입력 하였습니다.  /dev/hdb3파티션을 설정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용량설정에서는 두번째 파티션의 마지막 cylinder번호가 500이였으므로 여기서 설정하는 세번째 파티션의 시작 cylinder번호를 501번으로 하였습니다.

 

기본값이 501이므로 그냥 "Enter"만 입력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설정하는 마지막 파티션이므로 용량으로 설정하지 않고 마지막 cylinder번호를 입력 하였습니다. , 남아있는 용량모두를 /dev/hdb3에 할당하겠다라는 의미입니다.

 

Command (m for help): n

Command action

   e   extended

   p   primary partition (1-4)

p

Partition number (1-4): 3

First cylinder (501-784, default 501): 501

Last cylinder or +size or +sizeM or +sizeK (501-784, default 784): 784

 

Command (m for help):

Command (m for help): p

 

Disk /dev/hdb: 6448 MB, 644861952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784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b1             1       250   2008093+  83  Linux

/dev/hdb2           251       500   2008125   83  Linux

/dev/hdb3           501       784   2281230   83  Linux

 

Command (m for help):

 

이렇게 설정한 후에 다시 "p"를 입력하여 설정된 파티션 내용을 확인 하였습니다.

 

그런 다음 설정된 내용을 모두 확인하고서 아래와 같이 "w"를 입력합니다.  fdisk명령어 "w"는 설정된 파티션정보를 저장하고 fdisk모드에서 빠져 나오겠다는 의미입니다.

 

주의하실 것은 만약 여기서 "w"가 아니라 "q"를 입력하게 되면 지금까지 설정했던 파티션설정이 저장되지 않은 채로 fdisk에서 빠져나오게 된다는 것입니다.

 

, "q"를 입력하시면 저장되지 않았으므로 지금까지 설정한 파티션의 정보를 잃게 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설정한 파티션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반드시 "w"를 입력하시고 빠져나오셔야 합니다.

 

Command (m for help): w

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

 

Calling ioctl() to re-read partition table.

Syncing disks.

[root@file root]#

 

 

 

7 : 파티션 타입(types) 확인하기

 

다음은 fdisk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파티션타입(partition types)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fdisk모드로 들어가기 위하여 fdisk를 실행을 시킵니다.  그런다음 "l"을 입력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리눅스에서 설정가능한 파티션타입들이 표시 됩니다.

 

이들 파티션타입들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에 앞의 번호로 지정하여 원하는 파티션종류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root@file root]# fdisk /dev/hdb

 

Command (m for help): 

Command (m for help): l

 

 0  Empty           1c  Hidden Win95 FA 70  DiskSecure Mult bb  Boot Wizard hid

 1  FAT12           1e  Hidden Win95 FA 75  PC/IX           be  Solaris boot  

 2  XENIX root      24  NEC DOS         80  Old Minix       c1  DRDOS/sec (FAT-

 3  XENIX usr       39  Plan 9          81  Minix / old Lin c4  DRDOS/sec (FAT-

 4  FAT16 <32M      3c  PartitionMagic  82  Linux swap      c6  DRDOS/sec (FAT-

 5  Extended        40  Venix 80286     83  Linux           c7  Syrinx        

 6  FAT16           41  PPC PReP Boot   84  OS/2 hidden C:  da  Non-FS data   

 7  HPFS/NTFS       42  SFS             85  Linux extended  db  CP/M / CTOS / .

 8  AIX             4d  QNX4.x          86  NTFS volume set de  Dell Utility  

 9  AIX bootable    4e  QNX4.x 2nd part 87  NTFS volume set df  BootIt        

 a  OS/2 Boot Manag 4f  QNX4.x 3rd part 8e  Linux LVM       e1  DOS access    

 b  Win95 FAT32     50  OnTrack DM      93  Amoeba          e3  DOS R/O       

 c  Win95 FAT32 (LB 51  OnTrack DM6 Aux 94  Amoeba BBT      e4  SpeedStor     

 e  Win95 FAT16 (LB 52  CP/M            9f  BSD/OS          eb  BeOS fs       

 f  Win95 Ext'd (LB 53  OnTrack DM6 Aux a0  IBM Thinkpad hi ee  EFI GPT       

10  OPUS            54  OnTrackDM6      a5  FreeBSD         ef  EFI (FAT-12/16/

11  Hidden FAT12    55  EZ-Drive        a6  OpenBSD         f0  Linux/PA-RISC b

12  Compaq diagnost 56  Golden Bow      a7  NeXTSTEP        f1  SpeedStor     

14  Hidden FAT16 <3 5c  Priam Edisk     a8  Darwin UFS      f4  SpeedStor     

16  Hidden FAT16    61  SpeedStor       a9  NetBSD          f2  DOS secondary 

17  Hidden HPFS/NTF 63  GNU HURD or Sys ab  Darwin boot     fd  Linux raid auto

18  AST SmartSleep  64  Novell Netware  b7  BSDI fs         fe  LANstep       

1b  Hidden Win95 FA 65  Novell Netware  b8  BSDI swap       ff  BBT           

 

Command (m for help): q

 

[root@file root]#

 

, 리눅스의 특정 파티션을 스왑파티션타입으로 지정하시려면 82번으로 지정하고, 리눅스의 기본 파티션타입은 83번이며, 만약 윈도우의 FAT타입으로 파티션을 설정하려면 b또는 c로 설정하시고, FreeBSD타입의 파티션을 생성하시려면 a5를 지정하시면 됩니다.

 

 

 

 

ㅇ 제작자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박성수

 

ㅇ 본강좌의 자세한 정보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150 명
  • 현재 강좌수 :  36,432 개
  • 현재 접속자 :  283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