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패키지그룹과쉘변수PS1의사용인자값들설명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3,34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제작자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박성수
패키지그룹설명
리눅스 각 패키지그룹들을 선택하실 때에는 각 패키지그룹들의 아래 간단한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X Window System
: 윈도우환경(PC용으로는 반드시)을 원할 경우 반드시 필요
GNOME Desktop Environment
: X윈도우용 패키지(GNOME)가 설치됨.
KDE (K Desktop Environment)
: X윈도우용 패키지(KDE)가 설치됨.
XFCE
: XFCE라는 새로운 X윈도우용 패키지가 설치됨.
Editors
: 리눅스에 사용할 수 있는 각종 편집기 패키지들이 설치됨.
Engineering and Scientific
: 공학, 기술, 과학분야에 필요한 패키지들이 설치됨.
Graphical Internet
: 인터넷사용을 위한 여러가기 그래픽 툴들이 설치됨.
Text-based Internet
: 텍스트기반의 인터넷 환경을 사용하기 위한 패키지들.
Office/Productivity
: PC용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업무용, 즉, OA용 패키지들
Sound and Video
: 사운드카드와 비디오카드를 지원하기 위한 패키지들
Authoring and Publishing
: 리눅스에서 저작과 출판에 관한 응용소트트웨어들 설치됨.
Graphics
: GIMP와 같은 리눅스용 그래픽툴들이 설치됨.
Games and Entertainment
: 재미있는 리눅스용 게임과 몇가지 오락이 들어있는 패키지
Server Configuration Tools
: 서버설정 툴들이 설치됨.
Web Server
: 웹서버(아파치)로 사용하려면 반드시 설치(httpd)
Mail Server
: sendmail과 pop같은 메일서버용 패키지들이 설치됨.
Windows File Server
: 삼바(SAMBA)관련 패키지들이 설치됨.
DNS Name Server
: 네임서버로 사용하려면 반드시 설치(named)
FTP Server
: FTP서버가 설치됨(vsftpd)
PostgreSQL Database
: Postgres SQL 데이터베이스가 설치됨
MySQL Database
: MYSQL 데이터베이스가 설치됨.
News Server : 뉴스서버로 사용할 경우 뉴스데몬(innd)이 설치됨
Network Servers
: 네트워크환경에서의 C/S환경 피키지들이 설치됨.
Legacy Network Server
: 리눅스 Legacy 네트워크 서버용 패키지가 설치됨.
Development Tools
: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툴들 설치(특히 gcc, C++등과 같은 컴파일러들)
X Software Development
: X소프트웨어 개발툴들이 설치됨.
GNOME Software Development
: GNOME개발툴들
KDE Software Development
: KDE 개발툴들
XFCE Software Development
: XFCE 개발 툴들
Legacy Software Development
: Legacy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패키지
Administration Tools
: 리눅스 서버관리 툴들 패키지
System Tools
: 시스템관리용 패키지들
Printing Support
: 프린터관련 패키지가 설치됨. 프린트서버로 사용할 경우.
Everything
: 위의 모든 패키지(이를 선택하면 위의선택사항과는 무관하게 모두선택됨)
그리고 여기서 선택하고 있는 패키지그룹선택 항목의 맨 아래에 있는 “[ ]Everything”을 선택하시면 개별 패키지그룹의 선택여부는 무시한 채 모든 패키지그룹을 설치하게 됩니다.
PS1변수값의 의미와 설명
확인해 보신바와 같이 PS1이라는 변수의 값은 위와 같습니다. 하지만 PS1의 값은 언제든 수정이 가능하여 수정된 값으로 쉘프롬프트의 모양을 바꿀 수 있습니다. 즉, PS1이라는 쉘변수는 쉘프롬프트의 모양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특수변수입니다. 자, 그럼 이제 PS1쉘변수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호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 호 |
의 미 (설 명) |
|
24시간제로 현재시간을 나타냄. 표시형식은 시:분:초, 즉 “HH:MM:SS”의 형식임 |
T |
12시간제로 현재시간을 “HH:MM:SS”형식으로 표시함. |
@ |
12시간제로 현재시간을 “오전/오후”형식으로 표시함. |
d |
현재 날짜를 나타냄. 표시형식은 “요일 월 일”의 문자로 표시됨 |
s |
현재 사용중인 쉘의 이름을 표시함(C쉘이면 /bin/csh, bash쉘이면 /bin/bash임) |
w |
현재디렉토리의 전체 절대경로를 모두 표시함. |
W |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절대경로명중 마지막 디렉토리명만을 표시함. 즉, 현재 디렉토리명만을 표시함. |
u |
사용자명을 표시함. |
h |
서버의 호스트명을 표시함. (예 : www.superuser.co.kr에서 www부분) |
H |
서버의 도메인명을 표시함.(예 : www.superuser.co.kr에서 superuser.co.kr부분) |
# |
접속한 순간부터 사용한 명령어의 번호를 1번부터 차례대로 표시함. 즉, 명령어를 사용한 횟수를 표시하기 위함이 목적임. |
! |
사용한 명령어의 history번호를 표시함. |
$ |
현재 사용자가 root(UID가 0이면)이면 #을 표시하고 아니면 $을 표시함. |
\ |
“”문자 자체를 표시함. |
a |
ASCII 종소리 문자(07) |
e |
ASCII의 escape문자(033) |
|
개행문자(줄바꾸기) |
v |
사용중인 bash의 버전 |
V |
사용중인 bash의 배포,버전+패치수준으로 버전을 상세히 표시함. |
|
Carrage return |
nn |
8진수 nnn에 해당하는 문자 |
제작자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박성수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