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COM스위치 설정 및 사용법 2편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84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3COM스위치 설정 및 사용법 2편
작성자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박성수
개별포트의 송수신 상태확인
명령어 : ethernet/summary
위의 명령어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개별 포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Port : 포트번호
-
State : 포트 상태
-
RX Packets : 수신된 패킷수
-
RX Octets : 수신된 Octets 수
-
Errors : 에러발생 수 (이 수치가 높다면 자세한 점검이 필요하다.)
스위치의 IP 설정정보확인
명령어 : ip/interface/display
위의 명령어를 이용하면 장비(스위치)자체의 네트웍설정(IP, Subnet mask, default gateway등)상황을 볼 수 있다.
SNMP메뉴
현재 이 책의 주제인 MRTG를 이용한 네트웍 및 다양한 자원모니터링에 꼭 필요한 프로토콜이 SNMP이다.
SNMP의 구체적인 객체가 되는 MIB값들은 표준값외에도 장비자체의 MIB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메뉴에서는 SNMP로 통신하기위한 community name설정이 가능하며 또한 SNMP에 대한 명령을 수행이 가능하며(get, next) 변경(set)과 장비모니터링을 위한 트랩(trap)또한 가능하다.
우선 SNMP메뉴에서 제공하는 메뉴는 다음과 같다.
-
Community : SNMP의 community name을 설정한다.
-
Get : snmpget 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
Next : snmpgetnext 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
Set : snmpset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
Trap : snmptrap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다.
SNMP community name 설정
명령어 : snmp/community
이 명령을 이용하면 아래 예와 같이 각 계정별 community name설정이 가능하다.
snmpget 명령수행
명령어 : snmp/get
이 명령을 통해서 snmpget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snmpgetnext 명령수행
명령어 : snmp/next
이 명령을 통해서 snmpgetnext 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스위치 설정정보확인
명령어 : system/display
이명령은 현재장비(스위치)의 초기 설정상황을 그대로 볼 수 있다.
여기서 확인가능한 정보는 장비모델명, 장비이름, 하드웨어버전, Boot버전, MAC주소, 제조번호, 시리얼번호등이다.
접속 계정확인
명령어 : system/security/user/diaplay
이 명령은 이 장비(스위치)에 설정된 계정정보를 볼 수 있다.
위의 예에서 현재 설정된 계정명은 admin, manager, monitor, security가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접근레벨(access level)과 community name이 설정되어 있다.
접속계정의 접근권한 확인
명령어 : system/security/access/display
이 명령은 위에서 확인한 계정들의 접근권한을 보여준다.
접근방식은 snmp을 통한 쿼리접근, 콘솔(console)접근, 텔넷을 이용한 원격접근(telnet), 웹인터페이스접근(web)의 네가지 접근권한이 있다. 앞서 확인한 각 계정별 접근권한이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계정패스워드 변경하기
명령어 : system/password
이 명령은 현재 접속한 계정의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다.
-
Old password : 현재 사용중인 패스워드입력
-
Enter new password : 새로운 패스워드입력
-
Retype password : 새로운 패스워드 재입력
관리자 접근권한설정
명령어 : system/security/access/display
이번에는 계정의 접근권한을 바꾸어 보도록 하겠다.
위의 3계정(monitor, manager, security)중 security에 대한 설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SNMP 접근가능(enable), 콘솔(Console)접근가능(enable), 원격로그인(Telnet) 접근가능(enable), Web접속 접근불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다.
현재 이 설정중 telnet은 원격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으므로 보안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telnet접속을 허용하지 못하도록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system/security/access/modify 명령을 수행한다.
그러면 위의 예와 같이 SNMP, console, telnet, web에 대하여 각각 enable, disable을 설정할 수 있으며 telnet에 대하여 enable되어있던 설정을 disable로 설정을 변경하였음을 볼 수 있다.
다시 system/security/access/display 명령으로 변경된 설정상황을 확인한 것이다.
이상으로 3COM SuperStack Switch 3300XM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배워보았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이 책은 스위치나 라우터의 전문적인 운용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단지 MRTG를 이용하여 네트웍장비의 다양한 자원분석을 위해서 꼭 필요한 장비이기 때문에 그 기본적인 사용법만을 알아보았으며, 이 장비의 구체적인 사용법에 대해서는 장비업체의 교육프로그램이나 실제운용전문가등에게 배워야할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