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fish 1.0.5 (텍스트 에디터)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91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 bluefish 1.0.5 (텍스트 에디터)
프로그램명 : bluefish 1.0.5(향상된 텍스트에디터)
파일이름 : bluefish-1.0.5.tar.bz2 (1.4M)
운영체제 : Linux , Unix
라이센스 : GPL
홈페이지 :http://bluefish.openoffice.nl
제작자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서버관리팀
지 금부터 소개할 프로그램은 Windows에서 아주 편하게 사용하고 있는Editplus, UltraEditor 등과 같은 프로그램 작성에 최적화된 , 리눅스용 텍스트 에디터이다. 윈도우의 그것과 비슷하게 아주 많은 기능들을 제공했고, 너무 많은 기능들이 있어 본 리뷰에 모두 다루지 못해 아쉬움이 남을 뿐이다. 그럼 이 훌륭한 프로그램을 설치 한 다음, 어떤 기능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설치 및 실행
다운로드
설치하기 위해 홈페이지를 방문하였다.

이 름에 맞게 파란 고기가 첫 페이지에서 마지하고 있다. Download를눌러 소스를 다운로드 받는다. 그런 다음 다음 방법으로 컴파일 환경설정, 컴파일, 설치 순으로 수행한다. tar xvfpj bluefish-1.0.5.tar.bz2 cd bluefish-1.0.5 ./configuremake make install이렇게 하면 각 OS에 맞게 설치가 된다. 금번 리뷰에서 사용한 OS는 수세 10.0 이였으며, 수세에서도 깔끔하게 설치 되었다.
실행하기
실행은 아주 쉽다. 콘솔창에서 bluefish 를 직접 입력하여도 되며.
메뉴에서 선택해도 된다.
난 수세 리눅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메뉴가 설치되었다.

bluefish 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프리로더가 먼저 실행된다.
잠시 위 화면이표시된 다음, 아주 깔끔한 에디터가 나타난다.

인터페이스가 깔끔한 에디터가 위와같이 나타난다.
2. 다양한 기능들 환경설정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어떤 설정이 가능한가를 알기 위해 환경설정을 확인 했다.

아주 다양한 항목들이 아주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너무 많은 기능들이라서 본 리뷰에서는 기능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HTML 테그들 지원.
HTML 테그를 정확하게 몰라도 자동으로 완성해 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메뉴로 깔끔하게 구분되어 있어. 사용하기 편리했다. 물론 툴바에도 깔끔하게 정리 되어 있다.

다이얼로그
다양한 다이얼로그를 모아놓은 메뉴를 제공한다.

다양한 문법지원
php, html, python, c, java, perl, sql, jsp, xml, cfml, ..... 등의 다양한 문법을 지원하여 프로그램에서 문법에러를 감소시켜 준다.

프로젝트 단위 관리
프로젝트 단위로 파일 관리가 가능하여, 복잡해 지기 쉬운 파일 관리를 도와 주는 기능 또한 좋았다.

외부프로그램 실행
향상된 에디터의 기본인, 외부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였다. 이는 프로그램 과정에서 특정 코드를 수정하고, 컴파일 또는 웹브라우져에서 보기위해서 별도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아도 단축키로 자동 실행되게 해 주는 기능이다.

언어사전 기능
PHP 및 CSS, HTML등의 테그 및 함수를 찾아볼 수 있게 사전을 제공하며, 간단 간단한 의미 또한 보여 준다. 아주 유용하지만, 설명이 많이 부족해서 참고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었다.

디렉토리 및파일 브라우징
왼쪽에 디렉토리 및 파일들을 죽~ 나열해 두어서 여러 파일들을 편집하기에 아주 유용했다.

자주쓰는 문장 자동 완성기능
자주 사용하는 문장을 자동 완성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다음화면은 php에서 mysql db에 접속하는 문장을 db정보 입력만으로 완성한 결과이다. 자주 사용하는 문장을 사용자가 직접 기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아주 편리했다.

3. 마치며 이것으로 bluefish 에디터에 대한 리뷰를 마무리 하도록 하겠다. 아주 편리하고 거의 대부분의 기능들이 포함된 멋지 에디터였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EUC-KR의 지원이 미약했다. 대부분 한글은 유니코드(UTF8)으로 저장해야 했으며 기존 EUC-KR 으로 작성된 문서는 깨어져서 한글이 보이지 않았다.
작성자 : 리눅스포털 (www.superuser.co.kr)
수퍼유코리아 서버관리팀 에스유 (doly 골뱅이superuser.co.kr )Test OS: Suse 10.0 Gnome 2.12, kernel 2.6.13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