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네트워크 분류

3COM의 스위치다루기 및 포트확인법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COM의 스위치다루기 및 포트확인법

작성자 : (주)수퍼유저코리아, http://www.superuser.co.kr 서버팀

ㅇ 3COM 스위치 살펴보기

top


우선 3COM이라는 장비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자.

3COM 스위치는 여러대의 서버를 연결하기위한 HUB의 역할과 각 포트별 트래픽의 부하를 줄이기위한 SWITCH의 역할을 함께하는 장비이다.

이런 장비에는 일반적으로 8개, 16개, 24개등의 연결포트가 있는데 이런 포트에 각 서버를 연결하거나 또다른 스위치장비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있다.

사용가능한 포트수는 업링크(Uplink)포트를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 "전포트수-1"개의 포트에 서버나 다른 스위치연결이 가능하다.

MRTG에서 말하는 트픽분석이란 이런 스위치나 라우터의 각 포트(port)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

물론, 개별 서버를 대상으로 트래픽을 분석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개는 MRTG로 트래픽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업체들은 대부분 네트웍관리를 필요로 하는 업체들이며 이들 업체에서는 특정서버를 대상으로 트래픽모니터링을 하기보다는 여러대의 서버나 네트웍장비들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웍장비(스위치, 라우터등)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번장에서 트래픽모니터링을 하게될 대상장비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COM 장비중에서 Switch 3300 XM이란 모델명을 가진 것을 대상으로 한다.

앞으로 설명이 될 내용은 이 장비에 대해서 필요한 부분만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할 것이며, 우리의 목적에 필요한 부분들을 중심으로 장비의 사용법 및 SNMP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15-01.gif

위의 그림은 현재 작업대상으로 하고 있는 장비의 실물모습이다.

각각의 포트는 10BASE-T/100BASE-TX까지 가능하다.

이 스위치에는 MRTG를 통한 트래픽모니터링을 위한 SNMP프로토콜이 탑제되어 있다.

MRTG작업을 위해서 우리가 알아야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장비내에서 각포트를 구별해주는 포트번호

  • SNMP의 Community Name

  • SNMP를 통해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각포트별 MIB값

위의 정보만 안다면 각 포트별로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것이아니다.

다음장부터는 이 장비내에 직접접속하여 SNMP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과 위의정보들을 얻기위한 방법 및 이들 정보를 어떻게 MRTG에서 활용하는 가를 알아볼 것이다.



ㅇ 3COM 스위치의 포트번호 확인하는 방법

top



우리가 하려는 작업은 MRTG를 이용하여 특정 네트웍장비(3COM 스위치)의 네트웍 모니터링을 개별 포트별로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우선 이 장비의 개별 포트번호가 어떻게 부여되어있나를 확인해야한다.

물론, 장비를 구입한 업체에 문의를 해보면 가장 빠르게 알 수 있겠지만, 일반적인 방법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야 할 것이다.

스위치의 포트번호를 확인하려면 snmp명령어인 snmpwalk를 사용한다.

즉, snmpwalk를 이용하면 스위치뿐아니라 라우터의 개별 포트번호를 확인할 수가 있다.

snmpwalk을 이용해 대상장비의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snmpwalk [대상장비의 Ip Address] [Community Name] ifDescr

 

다음의 예를 보자

15-02.gif

fDescr(Interface Description)라는 OID를 이용하면 대상장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결과에서 대상장비(3COM스위치)의 포트개수와 개별포트의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포트수는 24개이며 개별 포트번호는 101, 102, ......, 124 와 같은식으로 부여가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한번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있다.

 

우리가 확인한 스위치라는 장비의 포트번호는 어디에서 사용하게 되는 것일까?

물론, 포트번호를 확인하는 차원에서 알아볼 수도 있겠지만, 네트웍장비(여기서는 스위치, 라우터)들이 개별 포트번호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부여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1, 2, 3, ...., 24번 식으로 부여를 하였을 수도 있고, 또는 1001, 1002, ...., 1024번 식으로 부여를 하였을 수도 있는 것이다.

사실 이문제는 대형스위치장비를 보면 좀더 자세히 알 수 있겠지만, 포트번호 앞에 동일하게 붙는 "1"이라는 숫자는 슬럿(slot)번호를 의미하는 것이다.

대형 스위치(예, Extreme Black Diamond, Cisco 9K등)에서는 여러개의 슬럿(slot)이 있기 때문에 이를 구별하기위한 번호로 맨 앞의 번호에 슬럿(slot)번호를 붙이게 된다.

 

어쨌든 우리가 여기서 확인한 포트번호의 대표적인 사용예는 MRTG의 cfg파일작성시에 Target부분에서 사용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포트구분번호

실제포트번호

cfg파일내의 Target속성

1

101

Target[sw_port101]: 101:public@192.168.10.2

2

102

Target[sw_port124]: 124:public@192.168.10.2

.
.
.

.
.
.

.
.
.

24

124

Target[sw_port124]: 124:public@192.168.10.2

즉, MRTG에서 사용하게될 포트번호는 101, 102,....,124번식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copyright.gif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34 명
  • 현재 강좌수 :  35,791 개
  • 현재 접속자 :  90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