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서버관리를 위한 SSU활용법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7,76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 서버관리를 위한 SSU활용법 | |
목 차
| |
SSU는? | |
- 수퍼유저코리아에서 자체 개발한 리눅스 서버관리 유틸리티 - 사용자관리, 웹서버설정, DNS설정, DB설정 , 자동 백업, 트래픽 점검 유틸리티 - 서버의 이상유무 및 해킹 등을 간단하게 점검, 서버상태 웹그래픽으로 보여줌
- 1998년 SMST(Server Management System Tools)으로 계정 설정, 메일, DB등 설정 - 1999년 system_check 0.1 매일 서버 상태를 점검, html으로 저장 - 2003년 system_check 0.5 점검날짜, 그래프(rrd툴 참조), java applet 으로 그래프 , 1페이지 모든 결과, 회사 내부에서만 사용 - 2004년 SSU 1.0 발표 (util.superuser.co.kr) 서버 점검 항목 50여가지, 트래픽 측정유틸리티, 점검 내역 보관, 정식 버전 배포 - 2006년 SULinux 에 SSU 1.04 포함, applet 그래프를 gd기반으로 변경 , 업그레이드 버그 수정 | |
설치 및 실행방법 | |
기본설치법 - 압축파일을 가져와서 푼다. - cron에 등록한다. - 설정파일 편집 - 초기화 시킨다. RPM설치법 - rpm파일을 받아설치 - 설정파일 편집 - 초기화 시킨다. |
# tar xvfpz ssu-1.04.tar.gz –C /root # crontab –e 00 07 * * * su - root -c '/root/bin/system_check' >& /dev/null */5 * * * * su - root -c '/root/bin/system_test >& /dev/null‘ # system_check_init --all |
| |
# rpm –Uvh ssu-1.04.i386.rpm # system_check_init --all | |
| |
# vi /root/bin/conf/su_util.cfg | |
유틸리티 구성 | |
su_backup (자동백업) [ 실행 방법 ] 1) 로컬 백업 /root/bin/su_backup --local 2) 원격 백업 - 원격지에 있는 파일들을 ftp를 이용해서 가져옮. /root/bin/su_backup --remote 대상ip ftp계정 비밀번호 대상경로 로컬경로 보관일수 [ 설정 파일 ] * /root/bin/conf/su_util.cfg 파일에서 셋팅 - backup_dir : 백업할 디렉토리 지정. / - backup_count : 백업데이터 보관일수 - home_dirs : 홈디렉토리들, 예) home1 , home2 su_traffic (서버트래픽점검) [ 실행 방법 ] su_traffic 장치명 출력형태 [간격] - 장치명 : eth0 등 eth로 시작하는 장치명 - 출력형태 : text 또는 html - 간격 : 모니터링하는 시간 간격. 생략 가능, 기본 60초 | |
su_domain (네임서버관리) [ 실행 방법 ] 1) 추가 dns_domain --add 도메인 아이피 * /etc/named.conf 파일에 내용추가, /var/named/도메인.zone 파일 생성 2) 변경 dns_domain --mod 도메인 * /var/named/도메인.zone 파일을 열어 편집할 수 있게 해 줌 3) 삭제 dns_domain --del 도메인 * /var/named/도메인.zone 파일을 삭제, /etc/named.conf 파일을 열어 커서를 관련 도메인에 위치시킴 su_dbuser (DB 사용자관리) [ 실행 방법 ] 1) 사용자 추가 su_dbuser --add DB명 DB사용자명 DB사용자패스워드 2)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su_dbuser --mod 사용자명 변경할패스워드 3) 사용자 및 DB 삭제 su_dbuser --del DB명 DB사용자명 (mysql 3.XX, 4.XX, 5.XX 모두 가능) | |
su_mailuser (Mail 사용자 관리) 1) 메일 사용자 추가 /root/bin/su_mailuser --add 도메인 계정명 계정비밀번호 2) 메일 가상 사용자 추가 (포워딩) /root/bin/su_mailuser --addforward 도메인 계정명 포워딩계정또는메일주소 3) 메일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root/bin/su_mailuser --mod 계정명 비밀번호 4) 메일 사용자 삭제 /root/bin/su_mailuser --del 계정명 5) 메일 사용자 목록 보기 /root/bin/su_mailuser --list | |
su_vhost (가상호스트 설정) 1) 가상 도메인 추가 /root/bin/su_vhost --add 가상WebRoot 도메인 2) 가상 도메인 정보 변경 /root/bin/su_vhost --mod 도메인 3) 가상 도메인 삭제 /root/bin/su_vhost --del 도메인 4) 도메인 포워딩 /root/bin/su_vhost --redirect 대상도메인 도메인들... su_usersetup (사용자 설정:메일,웹,계정통합) [ 실행 방법 ] 1) 계정 추가 /root/bin/su_usersetup --add 파티션 계정명 패스 도메인 [DB명 DB계정 DB패스] 2) 계정 삭제 /root/bin/su_usersetup --del 계정명 도메인 [DB명 DB계정 ] . | |
점검결과 확인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