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번 리뷰는 VMWare 이다. 이것을 처음 접해보는 사람도 적지 않게 있을
것 이며 의미도 가상드라이브와 비슷해 좀 이해하기 어려울수도 있다.
PC 장비는 하나인데 운영체제를 이것 저것 사용해야 하는경우나, 테스트를 위해 필요한 OS를 설치해야 하는경우 VMWare 는 모두 가상으로 장비를 공유해서 아무런 재약없이 설치 운영가능하다. 물론 가상공간에서의 OS는 속도나 처리면에서 조금 느리지만 그 단점에 비해 장점이 너무 크기에 커버 되고도 남는다고 생각한다. 만약 듈얼모니터를 사용한다면 더욱더 사용하기 편리할 것이다. (한모니터에 OS 하나씩.)
실 제적으로 하드디스크를 파티션을 나누어서 물리적으로 2~3개의 OS를
설 치할수도있지만 그것은 멀티부팅의 의미만 되지 VMWare처럼 같은 시간에
한 PC에서 여러개의 OS를 가상으로 돌리는 개념은 아니기에 VMware는 더욱더 매력적인 것 같다.
설 치는 의존성에 걸리는 패키지들 몇 개 체크하고 설치후 여러옵션들 선택
(엔 터)만 하면 설치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그럼 설치후 간단하게 사용법을 알아보자.
먼 저 rpm을 다운받기 전에 의존성에 걸리는 것들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필 요 소프트웨어
VMware 5.0 workstation ________________________>설치
vmware -any-any-update93.tar.gz________________>설치
1. kernel-source
2. gcc
3. gcc-c++
4. make
위 4가지가 모두 있어야 설치가 된다 . 다음과 같이 있는지 알아보자
# rpm -qa kernel* gcc* make

확 인해야 하는 패키지는 kernel (kernel-default, kernel-smp, 또는 kernel-bigsmp), kernel-source, gcc, and gcc-c++ 이다.
만 약 없는 항목이 있다면 설치해야 하며 설치하기가 어렵다면 좀더 설치 인테페이스가 쉬원 yum 업데이트를 이용하여 해당 패키지들을 확보해도
되 겠다.
예 를들어 gcc 가 없으면 yum -y update gcc 라고하면 gcc관련된 모든 패키지정보를 읽어와 설치해준다. 실력을 위해서는 하나하나 찾아 설치하는
것 도 좋다.
그 럼 위의 조건에 다 만족이 되었으면 본격적인 설치에 들어간다.
설 치할 위치를 나름대로 편안한 장소에 만든다.
# cd /usr/local/
# mkdir VMWare
# cd VMWare
아 래의 홈페이지에서 VMware-workstation-5.5.0-18463.i386.rpm를 다운받는다. 클릭해서 바로 받아도 되고 콘솔상태이면 wget 로 받는다
약 100M 가량 되는것을 확인할수있다.

http://download3.vmware.com/software/wkst/VMware-workstation-5.5.0-18463.i386.rpm
이 경로에서 최신버전을 받을수 있다.웹으로 바로 다운로드하고있는 이미지다.

콘 솔에서는 위화면처럼 wget 를 사용해 다운 받는다.
# wget http://download3.vmware.com/software/wkst/VMware-workstation-5.5.0-18463.i386.rpm
다 운을 받으면 rpm 명령어로 workstation 5를 설치한다.
# rpm -ivh VMware-workstation-5.5.0-18463.i386.rpm
만 약 아래의 그림처럼 충돌이 일어날 경우 이전에 한번 설치해서
충 돌나는 것이다 그때는 아래와 같이 설치한다.
# rpm -ivh --force VMware-workstation-5.5.0-18463.i386.rpm
--force : 충돌을 무시하고 설치하겠다라는 뜻
위의 이미지에서는 충돌을 한번 일으키고 --force 옵션으로 무시하고
설 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아 래와 같이 vmware-any-any-update93.tar.gz 를 다운로드하고
압 축을 풀고 "./vmware-any-any-update93" 디렉토리로 이동한다음
./runme.pl 명령어를 이용해 runme.pl 스크립트를 실행
다 운로드 경로
# wget http://ftp.cvut.cz/vmware/vmware-any-any-update96.tar.gz

앞 축을 풀고나서 " ./vmware-any-any-update93 " 으로 이동하면
runme.pl services.sh update update.c vmmon.tar vmnet.tar 가 나온다.
# ./runme.pl 실행하게 되면 몇가지 질문들이 나올것이다.
모 른면 다 yes (다 앤터) 해도 되지만 한번쯤 무슨항목인지 읽어보고 넘어가길 바란다.

위 이미지 처럼 인스톨이 이미 존재한다고 나오고 덮허쓰울것이냐고 묻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물음이 계속 나올것이다.
진 행 중 묻는 모든 질문에 "accept"를 선택하는데 주의할점은
경 우에 따라서는 Shift : 키를 누르는 경우도 있고 q를 선택하는 때도 있다. 이 경우는 네트웍 상태를 질문할 때나 라이센스 동의과정에서 발생하니
이 부분은 no로 넘어가면 되겠다. 모든 질문에 답이 끝나면
다 음과 같은 메세지가 나오면서 설치완료를 보여준다.
The configuration of VMware Workstation 5.0.0 build-13124 for Linux for this running kernel completed successfully.
이 문구가 보이면 설치에 성공한 것이다.
실 행은 [프 로그램] - [시스템도구] 에 VMware를 실행 혹은
/usr/bin/vmware 명령어로 실행할수있다.

설 치완료화면
[프 로그램] - [시스템도구] 에 VMware를 실행하여 메뉴중 [help]-about
를 실행하여 최신버전임을 보여주고 있다.
뿌 듯한 순간이 아닐수 없다.
[실 행하기]

[버 전확인]


[New Virtual Mechine] [New Team] [Open Existing Virtual Machine or Team]
3 가지 메뉴중에 첫번째 [New Virtual Mechine] 를 선택하여 새로운 시스템설정으로 새로운 virtual Mechine 를 생성한다.
Wizard 로 만들수있다는 메세지와 함께 [다음] 혹은 [Next] 를 클릭한다.
그 러면 [Typical] 로 할것인지 [Custom]으로 설치할것인지 묻는다.
처 음이니까. 기본적으로 [Typical]을 선택한다.
다 음은 Operating System을 선택하라는 항목이 나온다.
경 우에 맞게 선택하시면 되고 우리는 CentOS를 설치할것이므로 [2.Linux] 를 선택하고 선택과 동시에 Version부분이 있는데 이부분을 보면 여러가지 버전이 나오고
해 당사항이 없을때는 커널버전별로 있으므로 설치하고하는것이 우리는 2.6.X 버전이므로 이것을 선택하여 넘아간다.
다 음은 Name 와 Location 을 넣으라고 나오는데 Name는 자율적으로 적어도 되지만 나중에 여러개를 만들경우 알아볼수있도록 CentOS4.2라고 적고 Location은
가 상공간의 위치를 잡아주면된다. 좀 넉넉한 공간의 디렉토리로 잡아주는것이 좋겠다.
다 음은 네트워크를 어떻게 잡겠느냐는 것인데 첫번째 User bridged netwoking
일 반적인 네트워크를 잡는다고 생각하면 되고 두번째 (Nat)라고 되어있는것은
공 유기역할로 잡아주는것을 말한다. 우리는 첫번째 일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넘 어간다. 마지막으로 Disk size를 설정해주면 하나의 가상드라이브가 생성된다.

위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저드로 설치한 항목들이 요약되어 정보를 보여주고 현재 Power off 상태로 대기되어있다.아래에 보면 하드웨어적인 정보도 있으니 한번 보 길 바란다.
상 단 중앙에 녹색 Power On 버튼을 눌르면 설정된 가상공간이 실행되게 된다.
먼 저 눌러보기전에 그냥 실행시키면 부팅 이미지가 없기 때문데 네트워크로 부팅하려다가 실패하는 화면을 볼수있을것이다.
그 냥 실행하기 앞서 우리가 설치해보려고 했던 CentOS4.2 버전의 첫번재 시디를 넣고 Power on 을 클릭해보자.
아 래와 같은 결과를 볼수가 있다.
여 기서부터 가상으로 무언가가 실행이 되는구나라고 느낌이 올것이다.
CentOS 설치가 목표가 아니므로 여기까지 실행방법을 마치며
가 장 기초적인 사용방법을 알아보았다.
이 전 과정에서 다른 옵션들 그리고 다른 운영체제도 한번 생성시켜보면서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를 바란다. 이런 좋은 프로그램을 몰라서 테스트한다고 시간과 자원을 낭비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면서 이번 리뷰를 마친다.
참 고자료 : http://vmware.com
TEST OS : CentOS 4.2 Final [Kernel 2.6.9-22 EL]
작 성자 : 수 퍼유저코라아 서버관리팀 안재성(mymaster@superuser.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