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bi(한글입력기)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21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 O 한글입력기 - 워드카운터 하는 재미난 기능 - 한/영 전환키 설정 가능 - 성능 및 안정성 향상 [/summary]
리눅스를 데스크탑으로 사용하면서, 가장 문제가 되었고, 필요한 부분을 기준으로 리뷰를 써왔다.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등등 PC를 사용함에 꼭 필요한 것 기준으로 리뷰를 작성했지만, 하나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것이 바로 한글입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영 문에서 한글로 전환 또는 그 반대로 할 때, 키보드에 존재하는 '한/영' 키를 가만히 놔두고 "Shift + Space “ 또는 "Ctrl + Space”키를 이용하여 한/영 전환을 하였다. 지금은 너무 많이 사용해서 익수해졌지만, 처음 리눅스를 접하는 분들은 '한/영' 키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키를 사용한다는 것은 리눅스에 거부감을 느끼는 것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본 리뷰는 한글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 찾다가 잘 만들어진 한글입력기 나비에 관해 써 내려가고, 한/영 키를 사용한 한글변화를 목적으로 적어 보겠다. 나비는 2004년 말에 나왔으며, 내가 사용하는 리눅스(CentOS 4.2 x86_64)에는 navi 0.14버전이 이미 설치되어 있었다. 하지만, 0.15버전을 구해서 설치하도록 하겠다. 먼저 nabi.kldp.net에 들어가서 소스를 다운로드 받는다. 나비의 소스를 받았다면, 압축을 풀고, 컴파일 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tar xvfz nabi-0.15.tar.gz 기본적으로 이렇게 설치했다면, 설치된 디렉토리는 /usr/local 아래에 모든 파일들이 설치된다. 기존에 나비가 있으므로 난, 그 나비를 지우지 않고 백업 한 다음 심볼릭 링크를 거는 방향으로 설치했다. mv /usr/bin/nabi /usr/bin/nabi.0.14 이렇게 한 다음 기본 한글 입력기를 nabi로 선택해 준다. 위 스크린샷에서와 같이(그 놈기준) 프로그램 -> 시스템설정 -> 입력방식변환기 부분을 선택한 다음, 고 급설정에서 한국어, 입력방식을 nabi로 선택하여 준다. 만약 나타나지 않는다면, nabi 메인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설치 방법을 확인 하기 바란다. 이렇게 설정하였다면, X를 재 시작한다. 로그아웃 했다가, 로그인 하는 방법도 있고,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는 방법도 있다. X가 시작되고 난 다음, 트레이에 아이콘이 생긴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중요한것은, 원하는 목적과 달리, '한/영' 키를 눌렀을때 변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 많은 문서들을 찾아 보았다. 결론은. setkeycodes 71 122 키코드는 210 또는 122 , 209또는 121 이니. 콘솔에서 xev 명령어를 치고 키를 누르면 키값을 알아 낼 수 있다. 위 설정들을 X시작시 적용하기 위해 다른 메뉴얼에 있는것과 같이 했더니 되지 않아, 난 /root/hangul.sh 파일을 만들고, 위 내용을 복사한 다음, X시작시 바로 실행하게 "시작프로그램"에 넣어 두었다. 물론 /root/hangul.sh 는 실행 권한을 가진다. 프로그램 -> 환경설정 -> 추가 환경설정 -> 세션 에서 시작프로그램으로 등록한다. 아래 아이콘을 눌러 "설 정"메뉴 에 들어간 다음, 한글탭에서 한글키를 설정해 준다.
위 아이콘을 클릭하면, 여러가지 항목들을 볼 수있다.
프로그램 정보를 클릭하면, 재미있는 기능이 있다.
환경설정에 들어가면,
아주 간단하지만, 강력하고 유용한 한글입력기에 대해 알아 보았다. 리 눅스 데스크탑의 시대도 좀더 가까워 지는듯 해 뿌듯하다. 참고사이트 : http://nabi.kldp.net/ 작성자 : 수퍼유저코리아 에스유 (doly@superuser.co.kr)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