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zone파일검사 유틸리티 : named-checkzone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9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특정 zone파일검사 유틸리티 : named-checkzone
DNS에서 새로운 도메인을 추가설정 할 때에는 /etc/named.conf파일과 /var/named 디렉토리내에 zone파일을 생성해주어야 한다.
방금 앞에서 보셨던 named-checkconf유틸리티는 /etc/named.conf파일의 오류를 검사하는 유틸리티라면 /var/named/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개별 zone파일들의 오류여부를 점검하는 유틸리티가 바로 named-checkzone이다.
사용형식은 다음과 같다.
사용형식 : named-checkzone 도메인명 zone 파일절대경로명
먼저 다음 예를 보도록하겠다.
[root@sulinux named]#named-checkzone sspark.co.kr /var/named/sspark.co.kr.zone dns_master_load: /var/named/sspark.co.kr.zone:1: unknown $ directive '$TL' dns_master_load: /var/named/sspark.co.kr.zone:2: unexpected end of line dns_master_load: /var/named/sspark.co.kr.zone:1: unexpected end of input /var/named/sspark.co.kr.zone:9: using RFC1035 TTL semantics /var/named/sspark.co.kr.zone:10: \$TL.sspark.co.kr: bad owner name (check-names) /var/named/sspark.co.kr.zone:11: \$TL.sspark.co.kr: bad owner name (check-names) zone sspark.co.kr/IN: loading from master file /var/named/sspark.co.kr.zone failed: syntax error [root@sulinux named]# |
위의 결과를 보면 /var/named/sspark.co.kr.zone파일의 1행에 “$TL”이라는 지시자부분에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var/named/sspark.co.kr.zone파일을 vi로 열어서 확인해 본 결과 “$TTL”이라는 지시자가 “$TL”로 잘못 들어가 있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root@sulinux named]#cat /var/named/sspark.co.kr.zone $TL 86400 @ IN SOA localhost root.localhost ( 2009031201 ; Serial 3H ; Refresh 15M ; Retry 1W ; Expire 86400) ; Minimum ; IN NS ns.sspark.co.kr. ; IN MX 10 mail.sspark.co.kr. ; IN A 192.168.0.250 ; www IN A 192.168.0.250 ; mail IN A 192.168.0.250 ; * IN A 192.168.0.250 ; [root@sulinux named]# |
그리고 이를 “$TTL”로 수정하였다.
그런 다음 아래와 같이 다시한번 named-checkzone을 실행하여 sspark.co.kr.zone파일을 검사하였다.
[root@sulinux named]#named-checkzone sspark.co.kr /var/named/sspark.co.kr.zone zone sspark.co.kr/IN: loaded serial 2009031201 OK [root@sulinux named]# |
그 결과 이상없이 정상이라는 OK출력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