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쿼리순서 설정파일 : /etc/host.conf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9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도메인 쿼리순서 설정파일 : /etc/host.conf
리눅스 서버에서 “ping www.linux.co.kr”을 실행하였을 때에 리눅스는 먼저 www.linux.co.kr이라는 도메인에 대한 IP주소값을 찾을 것이다.
이때에 도메인에 대한 IP주소값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파일이 /etc/host.conf파일이다.
즉 이 파일의 용도는 특정도메인에 대한 IP를 찾고자 할 때에(이를 도메인 query라고함) 어디에서 먼저 찾을 것인가에 대한 순서를 정해놓은 파일이다.
먼저 이 파일의 내용을 보기 바란다.
[root@sulinux ~]#cat /etc/host.conf order hosts,bind [root@sulinux ~]# |
맨 앞의 order는 resolver의 순서를 지정한다는 의미이고 그 다음에는 아래와 같은 옵션들이 올 수 있다.
- hosts : /etc/hosts 파일을 지칭한다.
- bind : DNS(named데몬)를 의미한다.
/etc/resolv.conf파일의 nameserver항목에 지정된 네임서버를 의미한다.
- nis :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에 의한
domain query를 의미한다.
위의 예에서는 order지시자의
값으로 hosts가 먼저 왔고 그 다음 bind가 왔다.
따라서 www.linux.co.kr이라는 도메인에 대한 IP주소를 검색할 때에 먼저 로컬서버내에 있는 /etc/hosts파일에서 검색한다.
만약 www.linux.co.kr에 대한 도메인정보가 있다면 이를 이용하고 없다면 /etc/resolv.conf파일내의 nameserver지시자에 지정된 네임서버에게 쿼리하여 www.linux.co.kr에 대한 IP주소를 얻어온다.
즉 결론적으로
/etc/host.conf파일은 도메인네임서비스를 어디에서 받을 것인가를 정해놓은 파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etc/hosts파일을
로컬네임서버설정파일이라고 한다.
이는 /etc/hosts파일자체가 네임서버 역할을 하기 때문이며 이번 설명에서 이를 알 수 있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