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넷카드 speed와 mode 설정을 가장 쉽게할 수 있는 ethtool 2편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9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이더넷카드 speed와 mode 설정을 가장 쉽게할 수 있는 ethtool 2편
우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리눅스시스템에는 랜카드가 장착되어 있고, 시스템관리자는 이런 랜카드의 설정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에 설정을 변경하여 최적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먼저, ethtool을 이용하여 랜카드의 현재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즉, 다음 예와 같이 현재 서버에 장착되어 있는 이더넷카드(랜카드)의 설정상태를 확인하기위하여 “ethtool eth0”을 실행한 것이다.
[root@sulinux ~]# ethtool eth0 Settings for eth0: Supported ports: [ TP ] Support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 100baseT/Full 1000baseT/Full Supports auto-negotiation: Yes Advertis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 100baseT/Full 1000baseT/Full Advertised auto-negotiation: Yes Speed: 100Mb/s Duplex: Full Port: Twisted Pair PHYAD: 0 Transceiver: internal Auto-negotiation: on Supports Wake-on: umbg Wake-on: g Current message level: 0x00000007 (7) Link detected: yes [root@sulinux ~]# |
위의 결과에서 우리는 현재 eth0라는 이더넷카드의 설정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실행하는 방법이 아니다.
“실행한 결과를 어떻게 이해하고 그 의미를 알수 있는가?”라는 것이 중요하다.
즉, 위의 결과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Supported link modes
지원가능한 링크모드(속도와 전송모드), 현재 위의 결과로 보면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 100baseT/Full, 1000baseT/Full 이 모두 지원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재 이더넷에서는 1G까지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upports auto-negotiation
자동협상인식기능의 지원여부이다.
Yes로 되어있기 때문에 상대편 이더넷과의 협상을 통하여 자동설정기능이 지원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원하고 있느냐의 여부는 아래에 있는 Auto-negotiation의 on/off값으로 결정한다.
Speed
이더넷의 설정속도를 나타낸다.
100Mb/s로 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uplex
이더넷의 전송모드를 나타낸다.
Full(전이중)모드로 설정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uto-negotiation
자동협상인식 기능을 지원하고 있을때에 실제로 자동협상에 의해 이더넷설정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현재 on으로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자동협상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ethtool을 이용하여 이더넷카드의 속도와 전송모드등에 관한 설정을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현재 서버에 장착되어 있는 이더넷의 IP주소와 네트워크설정확인은 어떻게할까? 이 정보는 앞에서 이미 배운 ifconfig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이 정리해 두면 된다.
“리눅스 서버의 이더넷에 대한 네크워크설정 확인/변경은 ifconfig로 하면 되고, 이더넷의 속도 및 전송모드의 확인/변경은 ethtool로 하면 된다.
”
물론, 이외에도 네트워크 관련 툴과 명령어들이 있지만 이더넷설정에 관한 사항은 위와 같이 정리해 두면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방금 앞에서 확인한 eth0의 이더넷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상황을 ifconfig로 확인해 보자.
[root@sulinux ~]# ifconfig eth0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04:23:C8:6B:6E inet addr:222.97.189.20 Bcast:222.97.189.255 Mask:255.255.255.0 inet6 addr: fe80::204:23ff:fec8:6b6e/64 Scope:Link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1238783201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100292690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75894370 (72.3 MiB) TX bytes:2639157576 (2.4 GiB) Base address:0xec80 Memory:febe0000-fec00000
[root@sulinux ~]# |
즉, 위의 ifconfig의 결과에서 우리는 eth0에 대한 하드웨어주소(MAC주소), IP주소, Broadcast주소, NetMask, MTU등에 관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가 무엇을 설명하고자 하는지 잘 알았으리라 생각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