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알아두면 좋은 SetUID의 대문자 S의 의미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알아두면 좋은 SetUID의 대문자 S의 의미





 

앞에서 설명 드린 것과 같이 SetUID 또는 SetGID, 그리고 StickyBit 설정하면 모두 소문자 s t 설정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소문자로 설정되어 있어야만 정확한 효과가 있습니다.

 

 

 

 가끔씩 SetUID등의 설정을 잘못하여 소문자가 아닌 대문자 S 또는 T문자가 마킹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음 예를 보십시오.

 

이번 예는 testfile 대하여 SetUID 설정하였지만, 일반퍼미션에 소유자퍼미션자리에 실행권한이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SetUID 소문자 s 아닌 대문자 S 마킹된 것입니다.

 

 

 

 , 이렇게 대문자로 마킹된 것은 “SetUID 설정되어 있으나 유효하지 않은 설정이다.

 

 

 

라는 의미입니다.

 

 

 

 

 

[root@su250 su]# chmod 4644 testfile

[root@su250 su]#

[root@su250 su]# ls -l testfile

-rwSr--r-- 1 root root 33846 2009-01-0722:54 testfile

[root@su250 su]#

 

그리고 다음은 testfile 대하여 SetGID 설정하였지만, 일반퍼미션의 그룹퍼미션자리에  실행권한이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SetGID 소문자  s 아닌 대문자 S 마킹된 것입니다.

 

 

 

 , 이렇게 대문자로 마킹된 것은 “SetGID 설정되어 있으나 유효하지 않은 설정이다.

 

 

 

라는 의미입니다.

 

 

 

 

 

[root@su250 su]# chmod 2644 testfile

[root@su250 su]#

[root@su250 su]# ls -l testfile

-rw-r-Sr-- 1 root root 33846 2009-01-0722:54 testfile

[root@su250 su]#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음은 testdir디렉토리에 대하여 StickyBit 설정하였지만, 일반퍼미션의 다른사용자퍼미션자리에 실행권한이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StickyBit 소문자  t 아닌 대문자 T 마킹된 것입니다.

 

 

 

 , 이렇게 대문자로 마킹된 것은 “StickyBit 설정되어 있으나 유효하지 않은 설정이다.

 

 

 

라는 의미입니다.

 

 

 

 

 

[root@su250 su]# chmod 1644 testdir

[root@su250 su]#

[root@su250 su]# ls -l

합계 40

drw-r--r-T 2 root root  4096 2009-01-0723:44 testdir

-rw-r-Sr-- 1 root root 33846 2009-01-0722:54 testfile

[root@su250 su]#

 

, 이번 절에서는 SetUID SetGID, 그리고 StickyBit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들의  설정방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대문자와 소문자로 마킹되었을 때의 의미에 대해서 각각 예를 들어 설명하였습니다.

 

 

 

 이렇게 SetUID, SetGID, 그리고 StickyBit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이해만 하시고, 설정을 할 수 있다면 보다 실무적인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56 명
  • 현재 강좌수 :  35,910 개
  • 현재 접속자 :  206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