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1급 : OSI 참조 모델의 계층적 구분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7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1급 : OSI 참조 모델의 계층적 구분
OSI 참조 모델은 7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각 계층별로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확장성 및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서 설계된 구조이다.
OSI 참조 모델의 의의
OSI 참조 모델은 두 개의 네트워크가 동일한 통신 기능의 구현, 동일한 계층은 동등한 기능 제공, 동일한 계층은 동등한 프로토콜을 공유한다는 조건만 만족하면 통신을 가능하게 해 준다.
OSI 참조 모델은 업계 표준이 되지는 못하지만,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설계하거나 개발할 때 유용한 참조 모델로서 사용되고 있다.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을 받아들여 사용하며, 다른 계층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각 계층별로 바로 위와 아래의 계층에 대해 각각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OSI의 각 계층들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표] OSI 각 계층별 기능
OSI 계층 | 기능 |
애플리케이션 계층 |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토콜(Telnet, FTP 전자 우편용 프로토콜 등) |
프리젠테이션 계층 | 데이터의 입력, 표시, 제어, 코드화(SMTP 등) |
세션 계층 | 세션의 설정, 결합, 해방, 데이터 송수신(TFTP 등) |
트랜스포트 계층 | 데이터 송/수신 간의 흐름, 에러 제어 및 관리(TCP, UDP 등)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송/수신 경로 설정(IP 등) |
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 패킷 형성(예: MAC), 전송(예: CSMA/CD), 에러 체크(예: CRC) |
물리적 계층 | 데이터 교환을 위한 물리적인 장치(케이블, 커넥터 등)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