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1급 :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2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1급 :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특정한 건물 내부나 특정한 지역 내에서 중소 규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가리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이라고 부른다.
1) LAN 개요
∙네트워크를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LAN, MAN, WAN이 있다.
이 중 LAN은 지역적으로 1Km 이내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이다.
∙LAN이란 Local Area Network의 약어로서, 건물이나 가까운 거리에 설치된 통신망으로 한정된 지역 내에 산재되어 있는 컴퓨터, 프린터 등의 단말 장치를 상호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고속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다.
∙표준 LAN으로는 이더넷(Ethernet)과 FDDI를 들 수 있다.
LAN의 전송 매체로는 이중 나선(Twisted-pair Wire), 동축 케이블, 광섬유 등이 사용된다.
2) LAN의 특징과 효과
∙포괄하는 지역적 범위가 1Km 또는 수 Km 이내로 제한된다.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10Mbps 이상이며, 고속 LAN은 최대 100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지역적인 범위 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오류가 낮으며 안정성이 높다.
∙프린터, 통신 기기, 하드 디스크, 데이터베이스 등의 자원과 프로그램/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며, 개인이나 부서 등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부서 간의 원활한 의사 소통을 꾀할 수 있고 정보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LAN의 구성 요소
LAN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서버, 네트워크 카드, 서버와 PC를 연결하는 케이블, 네트워크를 운영하게 해 주는 운영체계, PC(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이 필요하다.
① 서버
∙LAN의 중심이 되는 컴퓨터이다.
∙일반적으로 10~20GB 정도의 대용량 하드 디스크, 고속의 CPU를 장착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운영체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등을 담고 있다.
②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Unit)
∙각 노드(= PC, 프린터, 기타 LAN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 발생, 전송 매체 및 접근 통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하나인 네트워크 카드는 모뎀과 동일하게 PC의 슬롯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노드 : 절점이라고도 하며, 데이터 전송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단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네트워크의 분기점이나 단말 장치의 접속점을 의미하기도 한다.
③ 케이블
∙PC와 서버를 연결해 주는 통신 회선이다.
∙이중 나선(Twisted-pair Wire), 동축 케이블 등이 많이 사용되며, 광섬유도 이용된다.
④ PC 또는 워크스테이션서버에 연결되어 서버에게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자료를 요청하는 컴퓨터들을 지칭한다.
⑤ 네트워크 운영체계(NOS ; Network Operating System)네트워크 전체를 관장하는 운영체계를 말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