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1급 : 설정 파일 편집을 통한 네트워크 설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9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1급 : 설정 파일 편집을 통한 네트워크 설정
설정 파일을 직접 편집하는 방법도 있다.
먼저 네트워크 카드 설정 파일을 수정한다.
이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이다(데비안의 경우에는 /etc/network/ interfaces). 만약 두 번째 네트워크 카드라면 ifcfg-eth1 이 될 것이다.
다음은 설정의 예이다(주석 처리(#) 된 부분은 원래 설정에 없는 부분이지만 설정 가능한 지시어들이다). 네트워크 카드가 두 개 있을 때에는 ifcfg-eth0과 ifcfg-eth1 파일을 수정하도록 한다.
|
|
|
| DEVICE="eth0" BOOTPROTO="none" ONBOOT="yes" IPADDR="192.168.1.1" NETMASK="255.255.255.0" #GATEWAY="192.168.1.1" #HWADDR=00:c0:26:8c:9a:f5 #TYPE=Ethernet #USERCTL=no #PEERDNS=yes #NETWORK=211.181.96.0 #BROADCAST=211.181.96.255 |
|
|
|
|
기본 게이트웨이의 경우에는 /etc/sysconfig/network 파일을 수정한다.
이 파일에는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와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한다.
게이트웨이의 경우 ifcfg-eth0 및 ifcfg-eth1 파일에 각각 게이트웨이를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런데 만약 eth0이 DHCP로 설정된 경우에는 이곳에 게이트웨이 설정을 하지 않도록 한다.
|
|
|
| NETWORKING=yes GATEWAY="192.168.1.1" |
|
|
|
|
그리고 /etc/resolv.conf 파일을 설정한다.
search는 DNS 탐색 경로로써 기재한 도메인은 도메인 서픽스로 작용하게 된다.
search 항목 부분에 도메인 서픽스를 주면 웹브라우저 등에 인터넷 주소를 쓸 때 서픽스 부분을 명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http://su1 라고 하면 http://su1.sulinux.co.kr 과 같다.
|
|
|
| search cblaw.net sulinux.co.kr nameserver 168.126.63.1 nameserver 168.126.63.2 |
|
|
|
|
호스트(Host) 항목은 DNS 의 도움을 받지 않고 네임 서빙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자주 들어가는 서버들의 별명을 붙여 주면 빨리 네임 서빙을 받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etc/hosts 파일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설정된다.
|
|
|
| 127.0.0.1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192.168.0.3 www.cblaw.net www ... |
|
|
|
|
네임 서빙을 받는 우선순위를 정하려면 /etc/host.conf 파일을 수정한다.
위 파일에서는 hosts 파일 내용이 우선이고 그 후에 DNS 서비스를 참조한다.
|
|
|
| order hosts,bind |
|
|
|
|
설정을 마친 후에는 네트워크를 시작하거나 네트워크 정보를 갱신한다.
네트워크를 시작할 때에는 시작 스크립트 파일 뒤에 start를 붙이고, 갱신하는 경우에는 시작 스크립트 파일 뒤에 restart를 붙인다.
다음은 갱신하는 경우이다.
|
|
|
| # /etc/init.d/network restart |
|
|
|
|
또는
|
|
|
| # service network restart |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