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o로 백업과 복구하는 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65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cpio로 백업과 복구하는 방법
먼저 cpio의 파일백업방법과 백업된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예를 보시면 현재 디렉토리에는 *.conf파일로 된 여러 개의 파일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파일들을 cpio를 이용하여 하나의 파일로 백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oot@command test]# ls aep.conf identd.conf lpd.conf pbm2ppa.conf syslog.conf aeplog.conf initlog.conf ltrace.conf pine.conf updatedb.conf amd.conf iscsi.conf mdadm.conf pnm2ppa.conf updfstab.conf bg5ps.conf jwhois.conf modules.conf prelink.conf warnquota.conf cdrecord.conf krb5.conf mtftpd.conf pwdb.conf webalizer.conf dhcpd.conf krb.conf mtools.conf pxe.conf xinetd.conf diskcheck.conf ldap.conf named.conf radvd.conf yp.conf esd.conf ld.so.conf nscd.conf resolv.conf ypserv.conf fam.conf lftp.conf nsswitch.conf rndc.conf gpm-root.conf libuser.conf ntp.conf scrollkeeper.conf host.conf lilo.conf nwserv.conf sensors.conf htdig.conf logrotate.conf pam_smb.conf sysctl.conf [root@command test]# |
아래는 ls명령어와 “|”명령어, cpio명령어, 그리고 “>”명령어를 이용하여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conf파일을 conf_backup파일로 백업하는 예입니다.
즉, “ls *.conf”명령어로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백업대상파일들을 리스트 한 후에 “|”명령어로 cpio명령어의 입력으로 넘겨줍니다.
그리고 conf_backup파일에 백업대상파일들을 모두 백업합니다.
백업이 된 후에 새로 생성된 conf_backup파일을 ls명령어로 확인한 것입니다.
[root@command test]# ls *.conf | cpio -oc > conf_backup 481 blocks [root@command test]# [root@command test]# ls -l conf_backup -rw-r--r-- 1 root root 246272 Mar 25 11:33 conf_backup [root@command test]# |
자, 이제 백업복구를 해보기 위하여 현재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conf”파일을 삭제하였습니다.
그리고 ls명령어로 “*.conf”파일이 모두 삭제되었는가를 확인한 것입니다.
[root@command test]# rm -f *.conf [root@command test]# [root@command test]# ls -l total 248 -rw-r--r-- 1 root root 246272 Mar 25 11:33 conf_backup [root@command test]# |
자, 이제 아래와 같이 cpio명령어로 conf_backup파일에 백업되어 있는 파일들을 현재 위치에 복구 하였습니다.
[root@command test]# cpio -ic < conf_backup 481 blocks [root@command test]# [root@command test]# ls aep.conf htdig.conf logrotate.conf pam_smb.conf sysctl.conf aeplog.conf identd.conf lpd.conf pbm2ppa.conf syslog.conf amd.conf initlog.conf ltrace.conf pine.conf updatedb.conf bg5ps.conf iscsi.conf mdadm.conf pnm2ppa.conf updfstab.conf cdrecord.conf jwhois.conf modules.conf prelink.conf warnquota.conf conf_backup krb5.conf mtftpd.conf pwdb.conf webalizer.conf dhcpd.conf krb.conf mtools.conf pxe.conf xinetd.conf diskcheck.conf ldap.conf named.conf radvd.conf yp.conf esd.conf ld.so.conf nscd.conf resolv.conf ypserv.conf fam.conf lftp.conf nsswitch.conf rndc.conf gpm-root.conf libuser.conf ntp.conf scrollkeeper.conf host.conf lilo.conf nwserv.conf sensors.conf [root@command test]# |
위의 예를 보면 삭제되었던 *.conf파일들이 모두 복구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 설명한 사용 예가 cpio를 이용한 가장 간단한 백업과 복구방법입니다.
만약 위의 백업대상파일들을 백업테잎으로 백업과 복구를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예는 cpio명령어로 백업테잎으로 백업하는 예입니다.
[root@command test]# ls *.conf | cpio -oc > /dev/st0 |
백업파일명 대신 리눅스의 백업테잎장치명인 /dev/st0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cpio명령어로 백업테잎에서 복구하는 명령의 간단한 예입니다.
[root@command test]# cpio -ic < /dev/st0 |
즉, 백업파일명 대신에 리눅스 백업테잎의 장치명(/dev/st0)을 이용하시면 백업테잎으로 간단히 백업과 복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 :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서 테잎장치명(/dev/st0)이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