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테잎에 저장된 데이터 복구하기 위한 restore 사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4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DAT테잎에 저장된 데이터 복구하기 위한 restore 사용법
이 명령어는 dump명령어로 DAT테잎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복구할 때에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공부하시기 이전에 반드시 dump명령어를 먼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명령어위치 : /sbin/restore
자, 그럼 DAT테잎으로 백업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예를 보이도록 하겠습니다.
말씀드린바와 같이 dump로 백업된 데이터를 복구하려면 restore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즉, restore명령어로 간단히 백업된 내용을 복구하려면 먼저 다음과 같이 테잎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를 실행하셔야 합니다.
[root@command root]# restore ivh /dev/st0 |
위의 restore명령에서 i옵션은 interactive를 의미하는 것으로 복구할 내용을 직접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복구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이 i옵션을 사용하면 restore복구모드에서 add, cd, delete, extract, help, ls, pwd, quit, setmodes, verbose등의 restore전용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v옵션은 상세한 출력모드를 사용하기위한 옵션이며, h옵션은 hierarchical 디렉토리를 생성하며 복구, 즉 백업된 경로대로 디렉토리도 함께 생성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위의 옵션들이 복잡하다면 restore명령어로 복구할 때에 위와 같은 옵션을 사용한다라고만 이해하셔도 무방할 것입니다.
[root@command root]# restore ivh /dev/st0
Verify volume and initialize maps |
위와 같이 restore를 실행한 다음에는 아래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즉, 아래 명령어들은 restore실행 상태에서만 사용하는 restore전용명령어입니다.
ls : 백업DAT테잎내의 현재디렉토리위치의 파일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
cd : 현재 작업디렉토리를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delete : 선택되어있는 복구대상 파일들을 복구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명령어입니다.
삭제명령어가 아님에 유의하시기 바람.
add : 지정한 파일을 복구대상파일로 선택하는 명령어.
extract : add로 선택되어있는 복구대상파일들을 복구(dump)하는 명령어.
pwd : 현재위치를 절대경로로 표시하기
help : 현재 사용 가능한 restore전용명령어들의 도움말 확인하기
quit : restore모드에서 빠져나가기.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