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DAT테잎 백업유틸리티 dump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1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전통적인 DAT테잎 백업유틸리티 dump
dump는 cpio명령어와 함께 DAT테잎으로 백업하는 전통적이고 가장 일반적인 백업유틸리티 입니다.
dump의 원문매뉴얼을 보면 “ext2/3 filesystem backup”라고 용도에 대한 정의가 되어 있습니다.
즉, dump가 개발된 근본 원인이 DAT테잎백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dump가 DAT테잎으로만 백업 가능한 것은 결코 아닙니다.
dump로 DAT테잎은 물론이고, 디스크 또는 다른 지정된 저장장치로 백업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dump로 백업된 데이터를 복구할 때에는 restore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dump명령어와 이 웹사이트(www.linux.co.kr)의 restore 강좌편을 함께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dump명령어에는 여러 가지 옵션들이 있습니다.
즉, dump명령어를 이용하여 DAT테잎으로 백업할 때에는 여러 가지 백업방법이 있다는 의미이며 가장 중요한 옵션으로서는 0부터 9까지의 백업레벨입니다.
즉, 0는 전체를 백업하는 풀백업(full backup)을 의미하며 1,2,3,..,9까지는 변경된 내용들을 백업하는 INCREMENTAL BACKUP입니다.
하지만 실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백업은 0(풀백업)를 사용하여 대상파일시스템 전체를 백업하는 방법입니다.
명령어위치 : /sbin/dump
사용방법 1 : dump [-level#] [-ackMnqSuv] [-A file] [-B records] [-b block-size] [-d density] [-D file] [-e inode numbers] [-E file] [-f file] [-F script] [-h level] [-I nr errors] [-jcompression level] [-L label] [-Q file] [-s feet] [-T date] [-y] [-zcom-pression level] files-to-dump
사용방법 2 : dump [-W | -w]
-W옵션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dump로 백업될 내용을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dump는 이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etc/dumpdates와 /etc/fstab파일을 참조합니다.
-w옵션은 -W옵션과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다만 -W옵션은 /etc/mtab과 /etc/fstab파일에서 인식된 파일시스템들 가운데 /etc/dumpdates에 있는 모든 파일시스템을 대상으로 출력하지만 -w옵션에서는 /etc/mtab과 /etc/fstab파일에 dump가능하다는 설정이 되어있는 파일시스템에 한하여 출력을 허용합니다.
먼저 백업장치로 백업하는 예입니다.
즉, 아래의 예는 /home디렉토리의 내용전체를 백업DAT테잎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home디렉토리전체의 내용을 풀백업(Full Backup)하는 것입니다.
[root@command root]# dump -0u -f /dev/st0 /home |
만약 특정 계정사용자의 홈디렉토리내의 데이터만을 백업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즉, 아래의 예는 /home/bible디렉토리의 전체내용을 백업DAT테잎으로 저장하는 예입니다.
[root@command root]# dump -0u -f /dev/st0 /home/bible |
위에서 사용한 0옵션은 풀백업(Full Backup)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백업레벨(Backup Level)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대상파일시스템내의 전체 내용을 그대로 저장하게 됩니다.
0대신 사용할 수 있는 숫자는 1,2,…,9까지 입니다.
즉, Incremental Backup을 하려면 0대신 1부터 9까지의 숫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f옵션은 지정된 백업장치(/dev/st0)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u옵션은 백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후에 /etc/dumpdates파일에 백업기록을 남기기 위한 옵션입니다.
위와 같이 dump명령어로 백업된 데이터를 복구할 때에는 restore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dump명령어의 설명을 보신 분들은 반드시 이 웹사이트(www.linux.co.kr)의 restore 강좌편을 보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