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1급 : 부팅시 자동마운트 설정파일 /etc/fstab 설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33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1급 : 부팅시 자동마운트 설정파일 /etc/fstab 설정
2) /etc/fstab 파일
시스템 부팅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기 위한 설정 파일로 /etc/fstab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리눅스 설치시나 설치 후에 파일 시스템을 여러 개의 파티션에 나눌 수 있다.
이때 시스템과 관련된 파티션의 경우는 부팅 시부터 마운트를 해야 하고, 그렇지 않은 파티션이라고 하더라도 부팅 후에 마운트 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이런 경우 /etc/fstab 파일에 마운트 정보를 입력해 놓으면 부팅시 자동으로 필요한 파일 시스템들을 모두 마운트 하게 된다.
또한 fstab 파일에 기술된 설정에 따라 파일 시스템에 대한 작업들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은 파일 예제이다.
|
|
|
| # # /etc/fstab # Created by anaconda on Wed May 1 22:59:19 2013 # # Accessible filesystems, by reference, are maintained under '/dev/disk' # See man pages fstab(5), findfs(8), mount(8) and/or blkid(8) for more info # UUID=8960f78b-78e8-498e-ab48-d5965244cbef / ext4 defaults 1 1 UUID=44295c68-8d64-433a-ba99-cf18a2db8429 swap swap defaults 0 0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
|
|
|
|
위의 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한 행이 마운트 할 하나의 파일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고, 각 행은 6개의 필드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하드 디스크 관련된 부분은 UUID 형식로 기술되어 있는데(LABEL 형식으로 기술되기도 한다), 하드 디스크의 마운트 설정은 원래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
|
| /dev/sda1 / ext4 defaults 1 1 /dev/sda6 swap swap defaults 0 0 |
|
|
|
|
/etc/fstab에서 각각의 필드가 나타내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이것에 대해서 잘 알아두는 것이 파티션을 추가하거나 할 때 도움이 된다.
필 드 | 의 미 |
첫 번째 필드 | 마운트 할 파일 시스템의 장치파일명 |
두 번째 필드 | 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을 연결할 디렉토리) |
세 번째 필드 |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의 종류 |
네 번째 필드 | 마운트 옵션 |
다섯 번째 필드 | 파일 시스템을 백업할 지의 여부 |
여섯 번째 필드 | 파일 시스템 검사 순서(fsck 수행) |
다음은 예제에 대한 세부 설명이다.
① 첫 번째 필드
/dev/sda는 SCSI 또는 SATA 마스터 하드 디스크를 나타내고, /dev/hdc은 IDE 세컨더리 마스터 하드 디스크를 나타내며, /dev/cdrom은 cdrom 드라이브를 나타낸다.
같은 방식으로 다른 파일 시스템들이 설정되어 있는데 /proc의 경우는 가상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에 장치파일이 none으로 지정되어 있다.
② 두 번째 필드
첫 번째 행을 보면 /dev/sda1에 만들어진 파일 시스템을 / 디렉토리에 마운트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③ 세 번째 필드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인 ext3, ext4, xfs, CD-ROM 파일 시스템인 iso9660, 스왑 영역인 swap 등이 지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④ 네 번째 필드
옵션들은 콤마(,)로 연결하여 여러 옵션을 적용할 수 있다.
mount에는 굉장히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는데, defaults는 그 중에 자주 사용되는 항목들을 묶어서 설정하게 된다.
async, atime, auto, defaults, dev, exec, noauto, noexec, nouser, remount, ro, rw, sync, user 등의 다양한 옵션이 있는데 그 중에 중요한 옵션은 다음과 같다.
다음은 이 옵션들에 대한 설명이다.
옵 션 | 기 능 |
auto | -a 옵션에 의해 자동으로 마운트된다.
|
defaults |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sync 옵션을 묶어서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
noauto | -a 옵션에 의해 자동으로 마운트 되지 않는다.
CD-ROM과 같은 미디어에 적용할 수 있는 옵션이다.
|
remount | 이미 마운트 되어 있는 경우 다시 마운트한다.
|
ro |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한다.
|
rw | 읽기/쓰기를 모두 허용하도록 마운트한다.
|
nouser | 일반 사용자가 마운트 하는 것을 금지한다.
|
user | 일반 사용자가 마운트 하는 것을 허용한다.
|
⑤ 다섯 번째 필드
1로 설정된 파일 시스템의 내용은 백업 대상에 포함시키고 0으로 설정된 파일 시스템은 백업을 하지 않는다.
⑥ 여섯 번째 필드
원하는 순서대로 수치를 부여하면 시스템 부팅시 자동으로 검사하게 된다.
fsck는 이전의 셧다운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마운트 해제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 자동으로 파일 시스템들을 검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 이곳에 지정된 옵션을 사용하게 되는데,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시스템 부팅시 해당 파일 시스템을 제일 먼저 검사하게 되고, 2로 설정되어 있으면 1로 설정된 파일 시스템의 점검이 끝난 후 검사를 시작한다.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팅할 때 해당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지 않는다.
만약 0이 아닌 다른 수가(예 : 2, 3) 여러 파일 시스템에 주어져 있으면 각 파일 시스템을 동시에 검사하게 된다.
일반적인 설정은 루트 파일 시스템에는 1의 값을 주고, 그 외의 파일 시스템에는 2를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CD-ROM, 스왑 파일 시스템 등에는 0을 주어 검사를 하지 않는다.
이 파일에 마운트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이 파일은 다음 3 가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우선, -a 옵션의 사용하면, (보통 부팅 과정에서) /etc/fstab에 기술되어 있는 모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시킨다.
하지만 noauto 라는 키워드를 사용한 줄은 제외한다.
|
|
|
| # mount -a [-t type] |
|
|
|
|
그리고 /etc/fstab 에 기술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장치명만 써주거나 마운트 포인트(마운트될 디렉토리)만 적어주면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수퍼 유저만 파일 시스템 마운트를 할 수 있다.
그러나 fstab에 user라는 옵션이 붙어있는 경우 어떤 사용자든 마운트가 가능하다.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면 어떤 사용자나 각자의 시디롬에 있는 iso9660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수 있다.
unhide는 히든 파일과 관련 파일까지 보여주는 옵션이다.
CD-ROM의 장치명은 리눅스 배포판에 따라 /dev/hdc, /dev/sr0, /dev/cdrom 등으로 사용되는데, 첫 번째는 IDE에 연결되어 해당 인터페이스로 인식한 경우, 두 번째는 SCSI 또는 SATA에 연결되어 해당 인터페이스로 인식한 경우이고, /dev/cdrom이 원래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장치명이다.
CentOS의 경우에는 /dev/sr0이 /dev/cdrom으로 링크되도록 설정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dev/sr0과 /dev/cdrom으로 모두 마운트가 가능하다.
최근 리눅스 배포판은 CD-ROM을 마운트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수동으로 마운트해야 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알아두도록 한다.
|
|
|
| /dev/cdrom /mnt/cdrom iso9660 ro,user,noauto,unhide |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