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자격증 분류

리눅스마스터1급 : 디스크사용량 제한 설정하는quota 사용법 6강 - 쿼타 설정된 파일 시스템 점검 및 쿼타 체크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리눅스마스터1: 디스크사용량 제한 설정하는quota 사용법 6- 쿼타 설정된 파일 시스템 점검 및 쿼타 체크




 

쿼타 설정된 파일 시스템 점검 및 쿼타 체크

 

 

현재 시스템에서 가동중인 쿼타에 대해 점검하는 명령어는 quotacheck이다.

 

 

 

쿼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쿼타가 설정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 점검을 먼저 해야 한다.

 

 

 

, quotacheck라는 명령어는 현재 쿼타가 적용중인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그 파일 시스템 내의 쿼타를 체크하여 보고하는 역할과 쿼타 파일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쿼타 파일 등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쿼타 파일에 문제가 있다면 이를 수정한다.

 

 

 

 

 

앞서 쿼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 적이 있었다.

 

 

 

이것이 일반적인 quotacheck의 사용법이고, 이미 쿼타 파일이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눅스 시스템의 쿼타 점검만 시행한다.

 

 

 

 

 

 

 

 

[root@sulinux ~]# quotacheck -avugm

 

 

 

 

 

 

 

여기에 사용된 옵션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이다.

 

 

 

 

옵션

설명

-a

마운트되어 있는 모든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함(/etc/mtab 파일 참조)

-v

quotacheck의 수행 과정을 출력함

-u

/etc/fstab 파일 또는 /etc/mtab에 지정된 사용자 쿼타를 점검함

-g

/etc/fstab 파일 또는 /etc/mtab에 지정된 그룹 쿼타를 점검함

-m

read-only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려고 시도하지 않음

 

 

 

그리고 quotacheck에 대하여 다음 3가지 사항을 알아 두어야 한다.

 

 

 

 

 

첫 번째, quotacheck는 시스템이 부팅하거나 마운트 될 때마다 점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두 번째, quotacheck의 수행은 해당 파일 시스템의 쿼타가 꺼진 상황(quota turn off)에서 실행하도록 권장한다.

 

 

 

만약 쿼타가 가동중(quota turn on)일 때에 quotacheck를 실행하면 쿼타 파일과 관련한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삭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파일 시스템이 실제 사용되고 있는 중에 quotacheck를 수행하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은 결코 아니다.

 

 

 

 

 

이에 대해 repquota 명령은 현재 시스템 내에서 쿼타가 설정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그 파일 시스템 내에 설정된 쿼타의 전체 내용을 출력한다.

 

 

 

 

다음은 특정 파일 시스템 내의 각 사용자별 디스크 사용량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repquota avu”라는 명령을 내린 것이다.

 

 

 

 

 

 

 

 

[root@sulinux ~]# repquota avu

 

 

 

 

 

 

 

위의 예에서 a 옵션은 /etc/mtab(/etc/fstab에 설정하는 것은 이미 기술하였다)에 쿼타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모든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v는 사용량이 전혀 없는 경우를 포함하여 모든 쿼타 내용을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u 옵션은 사용자에 대한 쿼타를 출력한다(기본옵션이다). 이에 대해 g 옵션은 그룹에 대한 쿼타를 출력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291 명
  • 현재 강좌수 :  36,951 개
  • 현재 접속자 :  431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