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로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하고 확인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03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route로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하고 확인하기
route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 현재 시스템의 기본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를 설정하고,설정된 기본게이트웨이를 확인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먼저, eth0라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기본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즉,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식 : route add default gw 게이트웨이IP주소 dev 네트워크인터페이스장치명
아래의 예는 현재 시스템의 eth0 인터페이스에서 인식하는 기본게이트웨이를 192.168.0.1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root@file root]# route add default gw 192.168.0.1 dev eth0 [root@file root]# |
위와 같이 설정된 후에는 아래와 같이 “route”을 실행하여 기본게이트웨이가 라우팅테이블에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가를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root@file root]# route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192.168.0.0 * 255.255.255.0 U 0 0 0 eth0 169.254.0.0 * 255.255.0.0 U 0 0 0 eth0 127.0.0.0 * 255.0.0.0 U 0 0 0 lo default 192.168.0.1 0.0.0.0 UG 0 0 0 eth0 [root@file root]# |
즉, 위의 결과 중 마지막행을 보시면 아래와 같은 설정이 있습니다.
default 192.168.0.1 0.0.0.0 UG 0 0 0 eth0
위의 설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서버가 외부와 통신을 할 때에는 192.168.0.1이라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다.
즉, 동일네트워크가 아닌 외부네트워크와 통신을 할 때의 모든 패킷(데이터)들은 모두 192.168.0.1게이트웨이로 보내진다는 의미입니다.
위와 같은 설정이 정상적으로 되어있다면 이 서버는 외부네트워크와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위의 예와 같이 라우팅테이블을 확인하는 “route”대신 “netstat -rn”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