쉘프로그래밍강좌081 : 디렉토리 기억스택의 최 상단리스트중 특정항목만 제거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8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쉘프로그래밍강좌081 : 디렉토리 기억스택의 최 상단리스트중 특정항목만 제거하기
앞의 예에서는 popd를 이용하여 최 상단 항목만을 제거하는 예를 보셨습니다.
이번에는 디렉토리기억스택에 저장된 리스트들의 번호를 지정하여 특정 항목만을 제거하는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root@su249 xinetd.d]# dirs /etc/xinetd.d /etc/mail /var/log /etc ~ [root@su249 xinetd.d]# [root@su249 xinetd.d]# popd +1 /etc/xinetd.d /var/log /etc ~ [root@su249 xinetd.d]# [root@su249 xinetd.d]# popd +2 /etc/xinetd.d /var/log ~ [root@su249 xinetd.d]# |
먼저, dirs를 이용하여 디렉토리기억스택에 현재 저장된 항목들을 확인하였습니다.
확인해 보시면
+0번에는 /etc/xinetd.d가 저장되어 있고,
+1번에는 /etc/mail이 저장되어 있으며,
+2번에는 /var/log가 저장되어 있고,
+3번에는 /etc가 저장되어 있으며,
+4번에는 ~가 각각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popd +1을 실행하였더니 +1번째 항목인 /etc/mail항목이 제거되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항목들은 하나씩 차례대로 번호가 조정되어 다음과 같이 저장되었습니다.
+0번에는 /etc/xinetd.d가 저장되어 있고,
+1번에는 /var/log가 저장되어 있고,
+2번에는 /etc가 저장되어 있으며,
+3번에는 ~가 각각 저장되어 있습니다.
다시 이런 상황에서 popd +2를 실행하여 +2번째 항목인 /etc 항목이 제거되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항목들은 다시 하나씩 차례대로 번호가 조정되어 다음과 같이 저장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0번에는 /etc/xinetd.d가 저장되어 있고,
+1번에는 /var/log가 저장되어 있고,
+2번에는 ~가 각각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상으로 pushd와 popd, 그리고 dirs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말씀드린바와 같이 이들 3가지는 함께 익혀두셔야하며 주로 쉘프로그램내에서 활용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