쉘프로그래밍강좌074 : dirs와 pushd, 그리고 popd의 일반적인 사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5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쉘프로그래밍강좌074 : dirs와 pushd, 그리고 popd의 일반적인 사용법
현재 디렉토리 기억스택이 비어있는 상태이므로 popd를 이용하여 저장된 디렉토리를 꺼내고자 하였지만 “directory stack empty”라는 메시지와 함께 비어있음을 알리고 있습니다.
즉, 기억된 것이 없으므로 꺼낼 것이 없는 셈 입니다.
[root@RockyLinux01 test]# popd -bash: popd: 디렉토리 스택이 비어있음 [root@RockyLinux01 test]# |
이번에는 pushd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하나를 디렉토리 기억스택에 집어넣어 보겠습니다.
아래의 예는 /etc라는 디렉토리를 디렉토리 기억스택에 집어넣은 것입니다.
즉, /etc라는 디렉토리를 북마크 해 둔 것이죠.
이렇게 디렉토리 기억스택에 집어넣은 후에 그 디렉토리로 옮겨가게 됩니다.
여기까지가 pushd의 역할입니다.
[root@RockyLinux01 test]# pushd /etc /etc ~/test [root@RockyLinux01 etc]# |
따라서 현재 디렉토리 기억스택에는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홈디렉토리(~)와 방금 기억시킨 /etc라는 디렉토리 두개가 저장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dirs를 이용하여 현재 디렉토리 기억스택에 기억되어 있는 디렉토리들을 출력해 보았습니다.
[root@RockyLinux01 etc]# dirs /etc ~/test [root@RockyLinux01 etc]# |
위의 예와 같이 dirs는 현재 디렉토리 기억스택에 기억되어 있는, 즉 북마크되어 있는 디렉토리들의 리스트를 출력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dirs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기억스택에 저장된 디렉토리리스트들의 출력방법에는 옵션들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