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네임서버에 대한 질의와 특정 네임서버를 지정한 질의의 차이점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0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기본네임서버에 대한 질의와 특정 네임서버를 지정한 질의의 차이점
host명령어나 nslookup명령어, 그리고 dig와 같은 도메인질의 명령어들을 사용할 때에 질의할 대상 네임서버를 지정하지 않으면 /etc/resolv.conf파일의 첫번째 nameserver항목에 있는 네임서버에게 도메인정보를 질의하게 됩니다.
다음 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root@su250 ~]# host linux.co.kr linux.co.kr has address 222.97.189.20 linux.co.kr mail is handled by 10 mail.linux.co.kr. [root@su250 ~]# |
당연히 host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특정 도메인에 대한 IP주소를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host 도메인명"이라고만 하면 됩니다.
위의 예는 linux.co.kr의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간단히 조회한 것입니다.
그 결과 linux.co.kr라는 도메인에 대한 IP주소는 222.97.189.20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매우 중요한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여기서 확인한 “linux.co.kr이라는 도메인의 IP주소를 어떤 네임서버가 답을 한 것인가?”라는 것입니다.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etc/resolv.conf파일의 첫번째 nameserver항목의 네임서버가 응답해서 알려준 것입니다.
즉, 다음을 보시기 바랍니다.
[root@su250 ~]# cat /etc/resolv.conf # Generated by NetworkManager search su250.com nameserver 168.126.63.1 nameserver 222.97.189.1 nameserver 222.97.189.2 [root@su250 ~]# |
위와 같이 /etc/resolv.conf파일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네임서버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다면 기본 네임서버로서 “168.126.63.1”를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위의 예는 host의 가장 간단한 사용방법 중 한가지이며 특정 도메인의 IP주소를 확인하고자 할 때에 사용합니다.
위와 같이 조회대상 도메인만 지정되고 조회를 의뢰할 네임서버가 지정되지 않았을 때에는 /etc/resolv.conf파일에 지정되어있는 네임서버를 차례대로 사용하게 됩니다.
이것을 분명하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이번 예는 바로 앞의 예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root@su250 ~]# host linux.co.kr ns.suidc.com
Using domain server: Name: ns.suidc.com Address: 222.97.189.1#53 Aliases:
linux.co.kr has address 222.97.189.20 linux.co.kr mail is handled by 10 mail.linux.co.kr. [root@su250 ~]# |
네, 그렇습니다.
이번 예는 질의 할 대상 네임서버(ns.suidc.com)를 직접 지정하였기 때문에 /etc/resolv.conf파일에 있는 기본네임서버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즉, 이번 예는 linux.co.kr도메인에 대한 IP정보를 ns.suidc.com이라는 네임서버에게 질의하여 그 결과를 받은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예와 앞의 예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